어린 왕자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지음, 황현산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왕자]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것 부터 그냥 책으로 읽은 것 까지 총 합하면 5번 정도 읽은 책이다.

그래도 오래 전에 읽어서 기억이 가물가물하던 즈음에 믿고 보는 출판사 열린책들에서 개정판으로 나왔다는 소식에 다시 책을 보게 되었다.

양장본으로 나와 소장용으로 전시하기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어른들이 읽어야 하는 소설 중에 [어린왕자]는 빠짐없이 등장하는 책이다.

이번에 다시 읽으면서도 느꼈지만 이게 그렇게 동심을 자극하는 책은 아닌 것 같다.

뭐랄까... 내가 얼마나 시커매 졌는지를 돋보이게 만드는 책이라고 해야 하나.

어린왕자가 사업자가 사는 별에 여행을 했을 때 했던 말을 보고 든 생각은 내 세상의 찌듬을 더욱 두드러지게 했다.

주구장창 앉아서 별만 세는 사업가에게 자신이 화산과 꽃을 가지고 있는건 그것들에게도 이롭지만 아저씨는 별들한테 이로울 게 없다는 철학적인 멘트를 날리는 어린왕자가 참 현실감각 떨어진다는 느낌이 들었다는게 슬펐다.

그저 소유하고 있다는 것, 꾸준히 별의 갯수를 늘려가고 있다는 것으로 의미를 찾고 안정감을 느끼는 사업가의 모습이 지금의 우리와 너무 닮지 않았나.

많이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가 권력이 되는 세상에서 그게 뭐가 잘못된 거지... 스스로 만족하고 있다면 제아무리 순수로 무장한 어린왕자가 본질을 꿰뚫는 말을 한들 그게 무슨 영향을 미치겠는가.

각각 자신만의 삶의 의미가 있는 거니까 내가 아닌 그 누구도 내가 추구하는 어떤 것에 대해 옳고 그름을 말할 순 없는 거다.

여기까지 생각하다가 내가 어지간히 어린왕자에게 딴지를 걸고 있다는걸 깨닫고 그 후로 마음을 비운 채 온전히 소설에만 집중하며 책을 본 것 같다.


얼마 전 아빠가 아는 분이 김장을 했다며 김치 한통 받아가라는 전화를 받고 부담스럽게 자꾸 챙겨준다고 말씀하신 적이 있다.

나도 이제는 어린아이가 아니라고 느끼는게 누가 잘해주거나 선물을 줄 때 '고맙다'는 감정만이 아니라 '나도 뭘 해줘야지'하는 부담감도 같이 든다는 거다 이제는.

어른이 되면 누군가의 성의를 순수한 마음으로만 받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미리 알았더라면 어렸을 때 그렇게 빨리 어른이 되기를 바라진 않았을 거다.

어린왕자를 아름다운 소설이라고 이야기 하는건 어른들의 대리만족이 아닐까.

원래 내가 하지 못하는걸 남이 하는걸 보면 동경하고 부러워하는 거처럼 말이다.


확실히 10대때 읽었던 느낌과는 다르다.

그때는 별 생각없이 교과서에 나오니까 읽었다면 현실의 벽에 막혀 좌절도 해보고 그럼에도 달리는걸 멈추지 않아야 스스로도 불안하지 않은 참 안쓰러운 20대인 지금 읽은 어린왕자는 너무너무 다르다.

시간이 지나 조금 더 여유를 갖고 어린왕자를 볼 수 있는 나이에 다시 보게 된다면 그땐 어떤 생각을 하며 보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