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동생 두나 - 정일근 시인의 우리 곁의 이야기 1 좋은 그림동화 17
정일근 글, 정혜정 그림 / 가교(가교출판)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디자인


안전성: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가 안되어 있어 어린 아이들에게 보여 주실 때는 주의가 필요해요.
촉감: 책 표지나 안쪽 페이지는 부드러워서 책의 내용처럼 느낌이 좋아요.
그림: 목탄과 색연필처럼 부드러운 스케치 그림 같아요.
그림에서 강아지 표정도 살아 있어 느낌이 바로 전달되요.
색감: 화사하고, 밝은 색감이 아니라 시골 풍경처럼 따뜻한 자연이 느껴지는 색감이에요.
글씨: 제목의 글씨는 크레파스 느낌의 손글씨, 내용은 일정한 글씨체에 반복 어구, 의성어, 의태어, 색깔 단어 등에는 색깔의 손글씨로 재미있게 강조하여 아이들의 호기심과 재미있게 책을 볼 수 있어요.

 
   이런 점이 좋아요!

내용은 하나라는 여자 아이와 강아지 두나와의 만남을 통해 하나의 가족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정일근 시인의 연작 동화에요.

두나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선은 인간의 관점과 기준에서 벗어난 시선이라 생명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할 수 있어서 아이들에게는 소중한 경험이 될 것 같아요.
하나의 인간의 표준적인 기준에서 두나를 결론 내리는 부분과 두나가 생각하는 자신과 자신의 엄마 영희를 표현 하는 부분은 전혀 다른 것을 보면 느끼는 부분도 많아요.

반복 어구와 의성어, 의태어 등이 많아서 아이들의 다양한 어휘를 배울 수 있어요.

시적 표현은 아이들의 상상력을 더 확장 시켜 줄 뿐만 아니라 행간에서도 아름 답고, 따뜻한 세상이 그려져요.

☞ 하나와 두나의 첫 만남에서 갈등이 빚어지는 부분은 마음이 아픈 것을 느끼고, 내용의 상상의 나라와 교감을 하며 천천히 읽게 되는 책인 것 같아요.

☞ 줄거리를 알아도 읽을 때마다의 따뜻한 느낌이 새로워 질리지 않아요.

☞ 강아지의 털빛, 냄새를 자연에 비유한 표현은 정말 얼마나 아름다운지 몰라요.
털빛, 나무, 시인 아저씨의 모자, 똥강아지 동일한 색상으로 연결하여 사건을 추측할 수 있고, 연상이 되기때문에 상상력이 더 발휘 되는 것 같아요.

긍정적인 생각과 생명에 대한 소중함, 나무도, 강아지도 한 가족이라는 울타리의 이야기는 삭막한 도시 생활 아이들에게 따뜻한 감동을 전해줄 거에요.

 
   우리 아이의 반응
▶ 우리 아이에게는 글밥이 많은 편이라 그림을 보며 이야기 해주는 들려주었어요. 그 후 몇 번씩 보다가 내용의 의성어, 의태어 등 조금씩 더 늘려서 읽어 주었더니 말을 곧잘 따라해요.^^

▶ 하나가 강아지 두나를 발로 툭툭치는 그림에서 우리 아이가 "발로  꽝~ 한거야! 아야~ 한거야!"라고 하면서 우리 집에서 키우는 애완 동물을 쓰다듬으며 "예뻐~하는거야!"라고 하더라고요.ㅎㅎ

▶ 원래 우리 아이는 집에서 키우는 애완 동물에게 질투도 느끼고, 자기랑 놀아 주지 않고, 애완 동물이 도망 다니면 꼬리를 잡거나 쫒아 다니며 울었거든요.
이 책을 보면서는 오히려 하나와 자기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건지, 하나의 잘못한 행동을 지적하는건지 바로 집에서 키우는 애완 동물을 안아줘요.
그림과 이야기를 통해서도 아이가 이해를 하고, 행동이 달라지는 것을 보고 참 신기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