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미국의 많은 청둥들이 보여준 겸손하고 감사하는 자세에 여러 번 깊은 감명을 받았다. 자신들이 전문가가 아니라는 점을 순순히 인정하기에 좋은 공연을 보여주는 사람이라면 그 사람이 클래식 음악가든,가수든, 연극배우든, 서커스 공연가든 그 모두에게 자연스럽게 감사함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어쩌면 ‘얼마나 잘하나 보자‘하는 청중이 많은 한국과 가장 다른 곳이기도...

자기 나라 음악을 연주해 주는 걸 좋아하는 건 러시아 관객들도 마찬가지다. 차이콥스키나 라흐마니노프, 프로코피예프, 쇼스타코비치 등을 연주하면 러시아 관객들의 눈에는 그렁그렁 눈물이 맺힌다. 대륙적 기질 때문인지 러시아인들은 유독 스케일 큰 음악과 연주, 그리고 꽁꽁 언 날씨를 녹여줄 불같은 음악을 높이 산다.

음악에 삶을 파괴당한 비운의 천재. 인생의 질곡을 초월해 영원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했던 처절한 몸부림과도 같은 그의 음악이 그를 죽음으로 몰고 간 것이 틀림없다고, 나는 생각한다.
하지만 수십년을 지나 지금의 나에게는 그의 음악이 삶의 원동력으로 돌아왔다. 오늘도, 내일도, 다시 일어설 힘이 없을 때는 나도 모르게 그의 연주를 튼다. 나와 내 음악을 살리는 그가 나에겐 영겁의 고통을 감내하고 인간에게 불을 구해다 준 프로메테우스와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