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경영학 수업 - 까칠한 저널리스트의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분투기
필립 델브스 브러턴 지음, 조윤정 옮김 / 어크로스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경영학을 모르던 저널리스트의 삶에서 일약 하버드 비지니스 경영대학을 들어가 겪은 일을 일기처럼 써내려간 책. 


기자의 눈과 귀로 듣고 배운 부분들을 가감없이 썼고, 실제 교수들의 교육 방침과 과목들 좋은점과 비평되어지는 점을 주관적이면서도 객관성을 띄려고 노력한 모습이 있다. 

내가 궁금해했던 경영학 수업의 과목과 또 그 속에서 배울수 있는것을 많이 알게해준 추천할만한 책이다. 


미국 최상위 비지니스 스쿨 구분

1.       스탠퍼드( 캘리포니아) – 실리콘 밸리의 사업가들을 위한 곳으로 유명

2.       켈로그 비지니스 스쿨(노스웨스턴 대학) – 마케팅 유명

3.       와튼 스쿨(펜실베니아 대학) – 금융가들, 월스트리트를 목표로 공부하는 사람들

4.       슬로언 비지니스 스쿨(MIT) – 아이디어를 사업으로 꽃피우고픈 엔지니어나 과학자들에게 적당

5.       하버드 종합 관리 가르침. 특정분야 집중보다 분야를 관리하고 이끄는 법을 배움

1909 설립 최초의 경영학 대학원


하버드 교과 과목

1학년 과정(필수 교과과정)

1.       마케팅

2.       재무보고 통제(Financial Reporting and Control)

3.       리더십과 조직행동

4.       기술 생산관리

5.       파이낸스                            ß------ 첫학기 마지막과목


6.       파이낸스II

7.       전략

8.       협상

9.       기업가적 거시경제

10.   비지니스 윤리                

11.   기업가적 경영자            ß------ 2학기 과목


2학년 과정(선택 교과과정)

1.       고급 경쟁 전략(Advanced Competitive Strategy)

2.       성공적 기업의 구축 유지(Building and Sustaining a Successful Enterprise)

3.       기업가적 파이낸스(Enterpreneurial Finance)

4.       기업가적 마케팅(Enterpreneurial Marketing)

5.       국제 파이낸스 관리(International Financial Management)

6.       전략 기술(Strategy and Technology)

7.       공급망의 조정 관리(Coordinating and Managing Supply Chains

8.       역동적 시장(Dynamic Market)

9.       경쟁력의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of Competitiveness) – 마이클 포터 교수

10.   고급 경쟁 전략

11.   시장 너머의 전략(Strategies Beyond the Market)

12.   전문적 서비스(Professional Services)

13.   피터 드러커의 <자기 관리> - 펠릭스 교수 : 지식 경제 시대에 자신의 경력, 교육, 성장을 관리 약점을 깨닫고, 강점에 집중하여 개발


기업가적 마케팅 과정중 래시터 교수의 엘리베이터 피치(Elevator pitch) 교육

- 엘리베이터 피치는 투자자나 고객과 엘리베이터를 같이 타고 간결한 설명으로 그들의 마음을 얻는 (제품이 어떤 문제를 해결해줄 있는가? , 내가 이걸 당신에게서 사야 하는가? 대한 해답 제시)


기업가 정신(곰퍼스 교수): 현재 관리하고 있는 자원의 한계를 넘어 단호하게 기회를 추구하는

- 기업가 정신은 리스크를 감수하는 것이 아니라 리스크를 관리하는 . 기회를 발견하고, 잡고, 수익을 얻는

기업가적 마케팅: 회사를 이끄는 사람들이 비지니스 기회를 선택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팔고 원하는 미래 자원을 획득하는 필요한 고객과 파트너를 단호하게 추구하는

------------------------------------------------------------------------------------------------------------------------------------------

전략과목 마이클 포터의 기업의 가치 획득 능력 요소 5가지

1.       진입장벽

2.       공급업체의

3.       고객의

4.       대체품

5.       경쟁

6.       보완재

7.       정부


경쟁 우위 2가지

1.       비용 우위 경쟁사보다 싸게 만들어서 싸게 파는것

2.       차별화 수직적 차별화(경쟁사보다 나은 제품 제공) & 수평적 차별화(끌리는 디자인으로 승부)

*: 헨리 포드: 계속 혁신하여 경쟁 우위를 지키지 못해 제너럴 모터스에게 밀려났던 대표적 인물

------------------------------------------------------------------------------------------------------------------------------------------

역동적 시장(주식,채권,파생상품의 모의 거래) 수업의 성적은 오로지 모의 거래에서 얼마를 벌었느냐로 결정.


*땅에 떨어진 하버드 평판

엔론의 CEO 제프 스킬링

1990년대 가장 전도 유망한 기업, MBA 졸업생들에게 가장 각광받는 직장중 하나였으나 비윤리적인 운영과 직원들의 은퇴자금 기만으로 엔론이 도산하고 스킬링은 감옥행그로인해 2003 리더십과 기업의 책임(Leadership and Corporate Accountability) 필수 교과 과목 신설.


경제적, 법적, 윤리적 책임 교육

졸업 연사중 한명(P.J. Kim) 졸업 예정자들이 클래스에게 해주고 싶은 핵심 3가지

1.       되돌아 보면, 큰일은 사소해 보일 것이고 사소한 일은 크게 보일 것이다.

2.       비교는 행복을 죽인다.

3.       우리에게는 우리 자신이 전부다. 아무도 우리를 구해주지 않는다.


두번째 연사(헨리 폴슨) 4가지 충고

1.       단기에 치중하고 싶은 유혹에서 벗어나라.

- 그때 그때 일자리를 쫓을게 아니라 배우고 성장하라!

2.       자신에게 어떤 직업이 맞는지에 대해 솔직해져라.

- 직업적 행복은 어떤 어려운 일을 매우 잘할 비로소 찾아온다.

3.       도덕적 나침반을 잃지 말라.

- 좋은 사람들이 나쁜 일을 하는지 깨닫고 우리 자신은 그런 운명을 피하라.

4.       직업적 삶과 개인적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라.

- 아니오라고 말하는 법을 배워야 하고, 스케줄을 조정하여 가족과 친구, 그리고 개인적 목표를 위한 시간을 마련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2008 10, 하버드 비지니스 스쿨 설립 100주년 기념식에서...

마이클 포터: 자유시장 자본주의의 미래를 주제로 패널을 초청해놓고, 그는 지지니스 리더들이 동료들의 신뢰를 잃었는지 거듭하여 물었다. ...

세계에서 부와 번영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자유 시장 자본주의가 제대로 작동 되어야 했다. 공정과 공평이 위축되고 부가 사회의 상층부로 몰려드는 현상이 생긴다면 제대로 작동할 수가 없다. 중략...

포터가 말하길, 그가 매사추세츠 주에서 보편적인 의료보험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힘썼을 주의 기업들은 여기에다 돈을 쓰지 않으려고 악착같이 싸웠다. 의료보험 제도가 궁극적으로는 비용을 낮추고 노동자들에게 안정감을 제공함으로써 기업들에게 도움을 텐데도 그들의 시야는 단기적인 이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래리 써머스(하버드 총장 역임, 오바마 정부에서 국가경제회의 의장): 민주당의 정당성을 판가름하는 지표로서 소득 불평등이 지난 30년간 미국이 지탱해온 체제 아래서 확대되었고 부자의 후손과 빈자의 후손 사이에 재정적 전망의 차이 역시 커졌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또한 못사는 사람들의 건강은 잘사는 사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악화되었다. 25 전에는 부자들이 평균보다 2 오래 살았으나, 오늘날에는 4 오래 산다.


이 책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며 읽고 밑줄친 내용중에 이 말에 더욱 도전을 받는다!


공부나 일의 가장 중요한 동기는 공부나 일어서 얻는 기쁘, 그  결과에서 얻는 기쁨, 공동체의 다른 사람들에게 미치는 그 가치를 알았을 때의 기쁨이 되어야 한다. 

- 아인슈타인


내일 죽을 것처럼 살아라. 영원히 살 것처럼 배워라. - 간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