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히스토리 1 :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 우주의 탄생, 우주.생명.인류 문명, 그 모든 것의 역사 빅 히스토리 Big History 1
이명현 지음, 정원교 그림 / 와이스쿨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첫 번째 대전환점인  ‘우주의 탄생’을 다룬 것으로,
빅뱅우주론을 기반으로 우주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떤 과학적 원리에 따라
급팽창이 이뤄졌는지 또 우주의 물질과 우주의 거대 구조는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빅히스토리 관점에서 이해한다. 

어린이들에게 인문학적 소양과 자연과학적 소양 모두를 넘나들면서

세계를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이해하고, 미래를 긍정적으로 조망하고 접근해나갈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에너지를 주는 책이다.

하지만 저학년의아이들일 경우 이해하기 다소 어려운 부분이 많아서

부모와 함께 읽으면서 설명을 곁들여서 읽어야 할 것 같다.

 

빅히스토리는 모든 것의 역사를 하나로 꿰뚫는 세상에서 가장 큰 이야기다.  

137억 년 전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타임라인 위에 우주의 탄생, 인류의 등장,

글로벌 네트워크의 출현 등과 같은 10개의 대전환점이 놓여 있고, 10개의 대전환점

마다 각각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생명은 왜 성을 진화시켰을까?’,

‘세계는 어떻게 연결되었을까?’ 등 모두 20개의 중대한 질문을 던진다.

10개의 대전환점과 20개의 빅퀘스천이 어떻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지 역사와 함께

인문과 과학적 지식을 토대로 보여 서술함으로써 통합적 사고를 유도한다.

이러한 빅히스토리의 통합적 관점은 요즘 교육계의 이슈가 된 문,

이과 통합교육의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우주 공간에서 주위의 천체와 영향을 주고받는 지구는 가장 가까이에 있는 달과 한 쌍을 이루어 진화해 나갔다.
네 번째 대전환점인 지구의 탄생, 『지구는 어떻게 생명의 터전이 되었을까?』편은

우주에서 지구는 어떻게 생명체가 살기 좋은 곳이 되었는지, 지구와 한 쌍을 이루는 달과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인류와 달에 얽힌 문화는 어떻게 나타나고 발전해 나갔는지,

원시 지구의 탄생과 오늘날의 지구를 살펴봄으로써 우주의 역사와 인류의 역사를 하나로 연결한다.
만일 지구와 달이 서로 멀거나 가까웠더라면 지구의 환경은 어떻게 되었을까?

지구가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한 물과 적정한 온도를 지녔더라도, 달과의 거리에 따라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환경은 지금과 전혀 다른 모습이 될 것이다.

 

실제로 달이 존재함으로써 밀물과 썰물이 생길 뿐 아니라 바닷물의 흐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바닷물의 일정한 흐름인 해류는 지구의 기후를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인류의 역사에서

돛으로 항해하던 시절의 선원들에게도 유의미했다. 이러한 차원에서 인류 문명의 역사가

우주의 역사와 연결된다는 사실을 깨달음으로써 세상을 하나의 축으로 바라보는 통찰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ZOOM IN》코너에서는 본문에서 제대로 다루지 못한 배경지식과 추가정보를 알맞은 곳에 배치했다.

항성과 행성 ㆍ 우주 망원경 ㆍ 조석력 등에 대한 지식을 보다 자세히 다뤘고, 달과 예술, 골디락스 이야기 등

인문학적 정보도 골고루 담았다. 아울러 본문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러스트와 인포그라피를 풍부하게 실었으며 달 궤도에서 찍은 지구돋이 ㆍ 지구와 달이 함께 찍힌 최초의 사진 등 우주에서 본 지구의 역사적인 순간을 만날 수 있다.
이번에 펴내는 『지구는 어떻게 생명의 터전이 되었을까?』편이 46억 년 전

 ‘지구의 탄생’에 대한 지적인 탐험을 도와, 지구가 생명의 터전이 됨으로써 인류가 있고,

인류가 있기에 역사가 존재한다는 의미를 되새기고 세상을 바라보는 거시적 안목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읽으면서 빅히스토리 시리즈를 다 읽어보고 싶었다.

와이스쿨에서 나온 빅히스토리 뿐만 아니라,

동명서적이 엄청 많아서 도서관에서가서 어떠한 내용인지

한번 더 읽어보고 싶다.

 

지구의 탄생과 더불어

많은 생명체들과 지구에서 숨쉬며 공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why라는 질문을 통해서 항상 궁금함을

갖어야 함을 전제로 해야 할것 같다.

 

이 책은 고학년 초등학생들이 읽으면 도움이 많이 될것같다.

과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쉬운 그림을 통해서

이해력을 높이는 이해도가 높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