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조 사코 지음, 함규진 옮김 / 글논그림밭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팔레스타인' 하고 이 책의 제목을 말할 때면 참 많은 감정들이 일어난다. 팔레스타인들이 경험한 개인적 불행에 대한 연민, 그런 일을 초래한 원인들에 대한 불쾌함, 나의 무관심에 대한 죄책감, 그리고 저자 조 사코에 대한 애정까지.

저자 조 사코가 그들의 불행을 단지 '양동이 속의 눈물 한 방울'이라고 표현하며 그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쓸 수 있었던 것은 불행인지 다행인지 그가 '저널리스트가 가져야 할 냉정함'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같이 동행했던 사진기자 사부로처럼 더 이상, 도저히 그들을 볼 수도, 찍을 수도, 말할 수도 없어 그만두고 말았다면 이 책은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나 역시 이 책에 진정으로 동화되었다면, 아마 이 책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인권도 자유도 평화도 없이 고통과 불행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을 보았을 때 무슨 평이 더 필요한가...? 그저 입을 다물고 가슴 에이는 슬픔을 느낄 뿐.

이 책은 단순히 팔레스타인에 살고 있는 (정확히 얘기하면 가자지구와 웨스트 뱅크 지역에 제한되어 살고있는) 아랍인들의 불행만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 독자로 하여금 계속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느끼게 하고 멋진 세상의 구석 구석에 숨어있는 어두운 이면을 보게 한다.

'유대인이 나찌의 전철을 밟아서는 안된다'는 누군가의 경고가 있었음에도 이 현대화되고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라는 세상에 계속 그러한, 결코 이해할 수도 없고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들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스라엘에서, 보스니아에서, 우리나라만 해도 광주에서, 제주에서, 여수 순천에서, 거창에서.

누가 그렇게 했는가? 한 쪽은 그것이 당연히 옳다고 한다. 국가를 위해, 종교를 위해, 자유와 평화를 위해,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그럼 다른 한쪽은? 과연 내가 신념하는 것들과 하고 있는 일 중에 나도 모르게 그런 명분에 종사하도 있는 일이 있는건 아닐까?

책 곳곳마다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자신의 불행을 사코에게 말한 후, 이에 대한 당신과 당신이 속한 나라의 의견은 무엇이냐, 이제 당신이 우리를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느냐(당신이 우리 사연을 적고 사진을 찍음으로써 우리의 현실을 바꾸기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느냐는)고 물어볼 때마다 그가 당황하고 우물쭈물했던 것은 이 책을 세상에 펴냄으로써 충분히 만회한 것 같다.

그럼, 이 책을 읽은 나는 무얼 해야하는 걸까. 조 사코에게 묻는 팔레스타인 여인의 강한 눈빛이 나를 응시하고 있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