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사생활
데이비드 애튼보로 지음 / 까치 / 1995년 11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신문 하단의 잡지 광고에서 한 줄의 글귀가 순식간에 눈에 들어왔다. '여자도 마약도 대자연만큼 나를 감동(흡인?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강렬한 단어였다...) 시키진 못했다' 현재 미국에 살고 있는 가수 이장희가 한 말이라고 한다.

대자연...이국에서 처음 그것을 느꼈을 때 나의 감동 또한 그러했다. 나는 여자에도 마약에도 소위 '뿅 가본' 적이 없지만 지금까지 경험한 어느 것에도 자연 만큼의 감동을 받은 적은 없었다.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장희가 한 말에 '그렇지, 그렇지...'하고 깊이 공감할 수 있었다.

우리가 자연 자체뿐만 아니라 매사에 자연스러움을 갈망하는 이유는 원초적인 본능상 거기에서 뭔가 위안과 치유를 받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매일 매일 쾌적하고 반듯반듯한 사무실에서 치열한 전투를 겪은 후 한 밤에 펴드는 이 책이 내겐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1년여에 걸쳐 대자연을 구성하는 식물들의 삶을 훑어본 지금, 나는 그들이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찍은 멋진 도판 사진만큼 그다지 평화롭지도, 아름답지도 않은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식물들의 삶, 그 속에는 말 그대로 현실과 생활이 있었다. 끊임없이 환경과 다른 식물들과 동물들과 투쟁하고, 생사를 겪고, 전략을 바꾸고 변화를 꾀하여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그런 생활... 그들은 생존과 번식을 위해 교활한 전략과 무기를 내세워 어쩌면 인간들보다 더 처절하게 살아가고 있었다.

사무실 벽에 붙여진 무시무시하고 과격한 표어 '변화없는 발전없고 도전없는 미래없다'는 우리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식물계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말이었다. 결국 그 말에 숨막혀하는 나를 포함한 생물들은 약자에 속하며, 언젠가는 도태하게 될 운명들임이 분명하다.

모든 인류의 행복과 평화. 모든 자연의 아름다운 조화.

결국 이것은 불가능한 꿈일 뿐일까? 자연의 조화 속에도 생존을 위한 투쟁이 있다는 사실. 아니, 그 투쟁으로 인하여 자연의 조화가 이루어진다는 사실. 그렇담, 더 예리한 칼과 더 두꺼운 방패를 준비하여 매일 매일 전투를 치뤄내야 하는 것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 우리의 운명인 것인지...

왜? 저 높은 곳에 계신 분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