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들의 대한민국 1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보기 싫은 것을 똑바로 보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의 느낌이란 '살에 메스를 댄다'는 표현이 가장 적절할 만큼 두렵고 가슴이 시리고 아프며, 시간이 지나도 그다지 상쾌하고 가벼워지지 않는다.

요즈음은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대중매체가 상업성을 내세워 아름답고 부담이 없는 것만을 너무나 잘 선정하여 보여주고, 또 우리는 그러한 것만을 선택하여 취한다. 보거나 들어 기분 나쁜 것이라 해도 적절히 요리하면 소위 '짜릿'한 것으로 바뀌어 나타난다. 그러다 보니 점차 '보기 싫은 것'이 있는지 조차 잊어버릴 때가 있는 것 같다. 이창동 감독이 만든 <박하사탕>이나 <오아시스>가 가치를 지니는 것은 우리가 보기 싫어하는 것만을 골라 결코 아름답지 못한 그 모습을 낱낱이 해부하여 날 것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결코 '보기 싫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는 없을 것이다. 그것들을 인식하고 포용하여 '더불어 좋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 우리 사회의 의무라면 우리는 의지를 가지고 반드시 그것들을 쳐다보아야 한다.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모습을 '해부'한다는 책들이 최근에 많이 발간되었다. 다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기대를 가지고 읽은 한 유명인사의 책도 그저 문제점들을 '짜릿한' 예를 들어 수다스럽게 늘어놓는 정도에 불과한 것 같았다. (그래서 어떻다는 것인가...?)

그러나 최근에 읽은 박노자의 <당신들의 대한민국>은 읽는 내내 가슴이 서늘할 만큼 그동안 내가 전혀 인식하지 못했던 일들에 대해 예리한 메스를 들이대고 있었다. 박노자의 이력을 인터넷에서 대강 읽고는 복잡한 경력의 한국인이라 생각했지만, 책 표지 뒷장에 있는 모습은 놀랍게도 아주 젊은 러시아인이었다. 그는 우리나라 학자라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한국어와 한자 실력 뿐만 아니라 한국사에 대한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이 폐쇄적인 사회에 질문을 던지고자(!) 귀화했으면서도 감히 '당신들의' 대한민국이라 말하며 이방인의 입장에서 칼날을 휘둘러대고 있다. '우리들의 대한민국'으로는 제 살을 찢는 아픔일 것 같아 제목을 '당신들의...'로 했는지는 모르지만, 그가 그런 비판을 할 수 있는 요인 중의 하나는 대학시절 러시아가 부패하고 몰락해가는 것을 보면서 이상적인 사회를 꿈꾸고 갈망해왔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특히 그는 우리나라에 넘쳐나고 있는데도 전혀 인식하지 못하거나 그냥 일상적인 일이라고 간주하고 있는 물리적, 심리적 폭력성과 비인간성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고 있다.

그의 주장이 너무 편파적인 건 아닐까....? 그러나 그동안 지나치게 편파적으로 '멋진 것'을 보아왔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그의 글이 별로 거슬릴 것도 없다고 생각한다. 사상적으로, 종교적으로 그의 말에 동의하기 어려운 면도 있을 수 있겠지만, 그가 언급한 주제들은 한번쯤 깊이있게 생각해 볼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는 것들이다. 저자 박노자가 대한민국의 국민이 된 것을, 우리를 날카롭게 해부해줌을 기꺼이 감사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