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새벽
김상수 지음 / 김아트인스티튜터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의 새벽>을 읽으며
김상수 작가님이 소설의 제목을 왜 "아버지의 새벽"으로 지었는지 읽는 내내 생각을 해 본다.
아직 오지 않았거나 아직 겪지 않은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다. "새벽"..
소설 속의 아버지의 새벽을 말하기 위해서라 생각한다.
그 "아버지"는 김재오의 아버지이며, 미아의 아버지인 김재오가 될 수도 있겠다.
그리고..
나는 2002년 돌아가신 나의 아버지를 많이 생각했다.
평생 농사를 지으시며 농민을 위한 삶을 올곧게 사셨던 나의 아버지의 새벽을 많이 떠올려 보게 되었다.
누구의 새벽이건 그 이른 아침은 아직 오지 않은 희망으로 가득해야 한다. 너무도 비참하고 억울하고 굴욕적이던 수많은 새벽들은 기억해야 한다.
반성해야 한다.
추모해야 한다.
그리고 준비해야 한다.
똑같은 아침은 없다.
세이코가 일본 역사에서의 일본인을 두고 한 말이지만 가장 가슴아프게 꽂힌 말.. '살아있는 자들은 저마다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그냥 무리를 지어 꾸역꾸역 살아가는 것인가. 어떤 일말의 관심도 가지지 않고서 말이다.' 
일본인 뿐만 아니라 지금 우리에게 하는 말이다.
한편으로.
새벽이라는
아직 오지 않은, 밝은 아침을 희망으로 남겨 주어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의 새벽
김상수 지음 / 김아트인스티튜터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의 새벽>이다. 새벽에 자고 있는 아이의 머리맡에 놓아 두었다. 새벽에 다녀간 아빠를 생각하며 책을 펴보게 될 것이다.”

김세봉님은 따님의 30살 생일에 소설 <아버지의 새벽>을 선물했다고 하신다. 박정희 전두환 시대를 경험하지 못한 세대에게 ‘아버지가 경험했던 시간’을 일러주고 싶으셨나 보다. 군사반란자 박정희 20년, 군사반란자 전두환 노태우의 12년, 일평생의 반인 32년 간이나 압제와 폭력의 시대에 맞서서 싸웠기에, 오늘 그 자녀들이 아직 완성하지는 못했지만 민주주의 시대를 맞을 수 있음을 부모는 자식에게 전수해야 하는 의무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의 새벽
김상수 지음 / 김아트인스티튜터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 눈물나는 우리 근현대사의 증인이자 양심인 세이코!... 그는 우리의 수많은 형과 누나들의 삶이자 역사이지 않은가? 그녀의 지고지순한 사랑과 시대적 상황에 심장이 아프고 눈물이 끊이지 않았다. 내가 세이코가 되고 김재오가 되어 더욱 고통스러운 시대의 이루어지지 못한, 아침을 맞지 못한 사랑 앞에서 애간장이 끓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버지의 새벽
김상수 지음 / 김아트인스티튜터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의 이야기가 눈믈을 흘리게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