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난 시나 소설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왜냐면 아무리 소설이 사실을 바탕으로한 개연성의 글이라고는 하지만 허구는 허구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어난 일들도 너무 많아서 일일이 살펴보기도 모자라는 판국에 있지도 않는 일들을 읽느라 시간을 낭비하는 일은 왠지 썩 마음에 내키지 않는다. 하지만 허구가 아닌 사실을 바탕으로, 작가에 의해 재구성한 글들은 재미있게 읽는 편이다. 그것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안에 대해 들추어내어 발표할 수 없는 것들을 소설이라는 형식을 빌려 쓴 책들은 꽤 좋아하는 편이다. 이번의 책이 바로 그렇다.

이번의 책 <칼의 노래>는 사실 김훈 이라는 작가가 책을 냈기에 내용이 좋은지 나쁜지 확인도 않고 구입했었다. 부제가 <소설 이순신>인 것도 사고나서야 알았다. 작가 김훈을 알게 된 계기는 어떤 교수님 중 한 분이 김훈의 글은 국어가 표현할 수 있는 미학의 극치라고 하셔서 얼마나 잘 쓰나 싶어 <자전거여행> 이라는 수필을 사서 읽어 본 것부터 기인한다. 지금까지도 그렇게 단순하면서도 난해한 수필은 없었던 걸로 기억되는데 여하튼 우리말에 이런말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수도 없이 하면서 읽었던 걸로 기억된다. 그런 분이 소설을 썼다는데 반가왔다. 소설을 어렵게 썼을려고......

처음 두 페이지를 넘기고 내 희망은 깨지고 말았다. 문장이 어려운 건 둘째치고 시점이 명확치가 않다. 주인공 시점에서 전지적 시점으로 누구에게 대화를 하는 건지 혼자 독백을 하는 건지 정신 바짝 차리고 읽지 않으면 이게 도대체 소설인지 수필인지. 도통 갈피를 못 잡는다. 넓게 보면 소설의 파격이다. 그래도 페이지는 술술 잘 넘어간다. 이것이 김훈 이라는 작가의 글 솜씨이다. 다른 건 몰라도 그것 하나는 인정해 주어야 한다.

책 내용을 살펴보면 주로 이순신의 내면세계를 중심으로 쓰여졌다. 역사적 고증이나 생생한 전투장면은 거의 없지만 인간 이순신이 겪었을 내면의 심리에 초점을 맞추어 작가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이야기를 전개해 나갔다. (이런 걸 아마도 1인칭 주인공시점이라고 했던 것 같다) 우리가 아는 영웅 이순신은 이 책에서 약간 배제하였다. 비록 적이지만 같은 인간을 죽여야만 하는 고뇌하는 이순신, 그리고 백성의 사랑을 한 몸에 받으면서도 선조의 시기와 질투를 동시에 받아야만 했던 인간 이순신이 이 책의 주요 테마이다. 그리고 빠질 수 없는 것은 칼을 쓰는 자는 칼로 망한다는 기본적 주제가 이 책에는 깔려있다. 김훈이 기독교인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지만 말이다. 그의 칼에는 이런 글이 쓰여져 있다고 한다.

一揮掃蕩 血染山河 (한 번 휘둘러 쓸어버리니 피가 강산을 물들이도다)

그가 칼에 이 검명을 새긴 이유는 무엇이였을까? 자신의 칼로 머리가 잘리고, 사지가 잘린 적들의 영혼들을 생각하면서 호연지기의 늠름한 기상을 나타내려 하였을까. 전쟁으로 사랑하는 막내아들이 죽고, 조정의 모함으로 귀향길에 올라 어머니의 임종마저 보지 못했던 이순신의 고뇌는 대체 어떤 걸로 보상받을 수 있는 것인가. 어쩌면 이순신은 그의 마지막 전투 노량해협에서 죽었던 것이 살아서 조정의 끊임없는 모함과 질투를 받느니 보다 오히려 더 행복했을지도 모른다. 그렇게 인생은 허무하다. 진정한 영웅도 살길이 없는 것이 이 땅의 진리란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