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우주인
나카가와 히로다카 글, 하타 코시로 그림, 조완제 옮김 / 미운오리새끼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좋았어!

얘들아, 우리 이번 가을엔 별자리 탐험 여행을 꼭 가자. 




아이들과 밤하늘의 별을 함께 세어 본 적이 있으신가요?

안타깝게도 저는 없는듯 합니다. 


아이들과 여행은 종종 다녔지만   나는 왜 한 번도 『나도 우주인』에 나오는 엄마, 아빠 처럼 이렇게 해보질 못했을까?

『나도 우주인』을 읽고 나니 마음이 급해집니다.

더 늦기 전에 나도 아이들과 별자리 보러 여행 가고 싶습니다.

 

 

 

 

 

같은 1월에 태어났지만 큰 아들은 솔직하고 똑똑한 엘리트 기질을 타고난 물병자리, 막내는 매사에 신중하고 철저한 완벽주의 염소자리,  감수성이 풍부하고 친절한 물고기자리의 둘째의 별자리는 과연 밤하늘 어디에 있을까?

모든 별자리의 중심 북두칠성, 영어 알파벳 W를 알아야 찾을 수 있는 카시오페이아, 별자리 중에서 가장 찾기 쉬운 네모 속 세 개의 별 오리온자리, 신화 속 날개 달린 말 페가수스, 밤하늘의 거대한 십자가 백조자리, 그리고 또.....

북두칠성이 왜 밤길을 잃은 사람들의 길잡이가 되고, 뱃사람들의 나침반이 되었는지, 오리온이 별자리가 된 사연과 별자리를 둘러싼 동서양의 전설과 신화를 이야기하며 내 생일에 맞는 나의 별자리를 찾아보기만 해도 우리 아이들과 밤을 꼴딱 새워도 시간이 부족할 듯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요즘 도시에선 환경오염으로 별 보기가 진짜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이 되어버렸네요. 진짜 별이라도 보려면 공기 맑은 산골로 찾아가지 않는 이상  몇 개 정도의 별은 볼 수 있어도 별자리로 본다는 게 힘들어졌지요.


제가 어렸을 땐 여름날 평상 위에 누워 모깃불 사이로 보이는 밤하늘을 바라만 봐도 하늘 한가운데로 흐르는 별의 강인 은하수며 쏟아질 듯이 무수히 많던 별들 때문에 밤하늘이 환해지고 책에서 본 천칭자리, 전갈자리, 북두칠성이 아니어도 내 맘대로 별자리를 실컷 그려볼 수 있었는데,  도심 속에선 아무리 구름 없는 맑은 밤하늘을 올려다봐도 눈에 보이는 별이 열 개나 될까 말까 합니다.

 

『나도 우주인』 이 책의 이야기는 여기서 한 발 더 나갑니다.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 태양계와 태양의 빛을 반사해 빛을 내는 지구와 금성 같은 행성들로 이루어진 태양계를 벗어나 은하계가 있고 그 안에는 태양과 같은 항성이 2000억 개가 있고 그런 은하가 1000억 개가 있으니까 지구는 정말 작고도 작은 존재라고 말합니다.

(이 대목에서 '우리가 서로 싸우고 시기하면서 100년을 산다는 것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 것일까'하는 철학적 물음을 저 자신에게 그리고 아이에게 던져 봅니다.)  


그럼 ​끝을 알 수 없는 우주 속에서 우리 지구인 말고 다른 우주인이 없다고 말할 수 없겠지요? 

그럼 우주인을 만나면 뭐라고 인사할까요?


"안녕? 나는 우주인이야!"


책을 덮으면서 우리 아들들이 지금보다 더 커서 엄마, 아빠랑 하늘 한 번 같이 쳐다볼 시간이 없어지기 전에 얼른 별 보러 가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