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만화방 이야기 별사탕 1
송언 글, 강화경 그림 / 키다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도서관이나 서점에만 가도 책을 쉽게 볼 수 있는데다가 집집마다 흐르고 넘칠 정도로 책이 흔하지만 7,80년대는 책이 참 귀하던 시절이었습니다.

나는 워낙 시골에 살아서  초등학교 내내 책이라고는 교과서가 전부인즐 알고 살다가 중학생이 되어 학교에 갔더니 도서관이란 것이 있었는데 교과서 말고도 책이 어찌나 많던지. 정말 밥을 안 먹어도 그곳에만 있으면 배가 부르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도서관이란 것이 요즘처럼(물론 나는 지금도 도서관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가기 쉽지 않던 시절, 우린 어떻게 책을 읽고 살았을까요?

그 궁금증에 대한 답을 살짝 엿볼 수 있는 책이 바로 송언 선생님의 <우리 동네 만화방>입니다.

 

 

책을 사서 볼 형편이 안되는 가난한 소년은 할머니의 무릎을 베고 누워 할머니가 들려주시는 옛날 이야기를 듣는 것이 참 행복했습니다.

그러나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나가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이야기 나라도 훌훌 소년을 떠나 버렸습니다.

 

이제 할머니 대신 동네에 새로 생긴 만화방에서 빌린 만화책에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납니다.

헨젤과 그레텔, 미운 새끼 오리, 인어 공주, 홍길동, 콩쥐 이야기, 길창덕의 꺼벙이, 윤승운의 맹꽁이 서당, 허영만의 각시탈 등등.

돈은 없고, 보고 싶은 책은 많던 소년은 머리 깎을 돈 30원으로 만화책을 봅니다.

그리고는 만화책을 보고 남은 돈으로 깎을 수 있는 빡빡 머리가 될 수 밖에 없었다네요.

 

그렇게나 이야기를 좋아했던 소년은 자라서 이젠 스스로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드는 작가가 되었다는데 그게 바로 송언 선생님이시랍니다.

 

교실 속에서 곧바로 튀어 나온듯한 아이들의 살아있는 이야기를 쓰시는 송언 선생님이 저는 참 좋습니다.

그런데 하드 커버의 송언 선생님 책은 왠지 낯섭니다.

거기다가 7,80년대 산동네 이야기나, 만화방 이야기는 더욱 낯설다했는데, 그 이유가 바로 키다리출판사가 기획한 1970~1980년대의 생활모습을 담은 생활문화 그림책 <이야기 별사탕> 시리즈의 첫 번째 책이었기 때문이네요.

 

<우리 동네 만화방>에서 송언 선생님의 어린 시절도 엿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져버린 옛시절의 사랑방이었고 또한 문화공간이었던 만화방의 추억과 향수에 빠져 봅니다.

 

그나저나 <이야기 별사탕>의 다움 추억거리는 무엇일지 벌써 궁금해집니다.

 

 

 

****[키다리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