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독한 말
최강민 지음 / 작가와비평 / 2014년 9월
평점 :

평론이란 것이 얼마나 외롭고 고독한 일이었으면 책의 제목을 '고독한 말'이라고 붙였을까?
문학평론집이란 그 한 단어에 꽂혀 반갑고도 반가운 마음에 오랫만하고도 오랫만(한 십 년은 되지 않았을까?)에 펼쳐든 책이건만 내 마음이 깊숙하고도 아득한 저 아래로 툭하고 떨어진다.
프랑스 유학을 거치시고 서구 이론으로 무장한 채, 문학 평론이란 것은 자로고 엘리트들을 위한 언어로 써야 제맛인듯이 우리 문학을 평가해주시던 천재라 칭송받던 문학평론계의 거인 김현을 감히 비평하고, 그의 거룩한 계보를 잇고자하는 죽은 김현을 불러내에 평론계의 좌편향을 정리해주고자 고군분투 하시는 정과리를 감히 디스하는 젊은 평론가가 아직도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우리 문학비평계가 죽지 않았다 기뻐해야 마땅하다.
내가 <마이너리그>를 읽고 나서 완전 반해버렸던 은희경은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에서는 어느덧 '뭔 말을 하는 건지 모르겠어'의 지경에 이르렀음에도 '새로운 옷을 입었다'고 추천사를 쓴 어느 작가의 말을 보면서 출판계의 상부상조를 강요하는 권력의 쓴맛의 원인이 이 책의 저자 최강민의 용어, '주례사 비평'이었던 모양이다.
공지영의 첫 르뽀작인 평택 쌍용자동차 사태를 다룬 <의자놀이>에 대한 비평은 이 책을 좀 더 많은 이들이 읽어주길 바라는 미끼 정도로 봐주는 센스는 갖자.
평론계의 거두 백낙청에 대한 콤플렉스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김현에 대한 글이나 반체제 저항 시인으로 추앙받던 김지하가 노망난 우상으로 추락의 원인에 대한 그의 분석은 문학가의 삶이란 대체 어떠해야 하는가를 꼽씹게 된다.
고정일의 '불굴혼 박정희'는 굳이 이책에서 언급할 만큼의 가치도 없거늘 왜 굳이.....
(딱 인터넷 언론에 스쳐 지나가는 글 혹은 팟케스트 책 코너에서 언급 정도로 그치기에도 시간 낭비적인 가치의 정도? 그 작가와 그책이 그렇게 유명해?)
아직도 철저한 약자들의 삶을 담은 빈곤문학이 '체제 저항의 강도가 약하다고 빈곤의 절박함이 강렬하지 않다'고 쓴소리를 날릴 수 있고 그 원인이 작가들이 중산층의 계급적, 계층적 기반에 있음을 지적할 수 있을 정도의 관심과 애정을 가진 비평가가 있을까?
오늘의 문학평론가는 생계와 문학적 열정과 윤리 사이에서 끊임없이 번뇌할 수밖에 없는 불안정한 존재이다.
--81~82쪽--
생계를 택했다면 그 역시 주례사 비평을 생산하고 있거나 김현의 후예로 줄을 섰을 것이나 윤리와 문학적 열정을 버리지 못하고 외로움과 배고픔 속에서도 고독한 말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는 문학평론가 최강민의 네번째, 다섯번째 평론집을 기다려 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