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 엄마처럼 - 일등이 아니어도 행복한 프랑스식 긍정 교육법
오드리 아쿤, 이자벨 파요 지음, 이주영 옮김 / 북라이프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정말 내 아이가 일등이 아니어도 행복할까요?
프랑스 엄마들이요.
결론은?
아니네요.
<프랑스 엄마처럼>을 읽어보니, 내아이 공부가 일등이 아니어서 힘들고 불행한 것은 대한민국 엄마나 우아함의 대명사인 프랑스 엄마나 매 한가지 입니다.
물론 일부의 엄마들 말입니다.
(그럼요. 아이들을 너무나 사랑하는 대부분의 엄마들은 '인생이 공부가 전부가 아님'을 '늘', '힘껏' 실천하고 있습니다. 그렇죠?)
아이들 공부 문제로 엄마가 머리 싸매고 고민하는 것이 프랑스나 우리나라나 마찬가지이듯이 그 아이들의 연령대가 점점 낮아진다는 것 또한 공통점이란 것이 눈길이 갑니다.
아이가 좋은 대학 (물론 여기에서 좋은 대학이란 성적이 좋은 대학이다)에 가기 위해선 좋은 고등학교를, 좋은 고등학교를 위해선 좋은 중학교를, 또 초등학교를, 그런 초등학교를 다니기 위해 좋은 유치원을 가야하고, 그러기 위해 좋은 어린이집을 다녀야 되며, 그것을 위해서는 미리 그 동네에서 살면서 미리 원서를 내 놓아야 한다는 의욕 넘치는 대한민국 엄마들의 현상.
(믿는 만큼 자라는 아이들의 박혜란 교수의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중에서)
이것이 푸른 바다 건너 이역만리 선진국의 원조 프랑스에서도 발견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 만으로도 <프랑스 엄마처럼>은 나로서는 당혹스럽고도 당혹스러운 책입니다.
사실, 제가 이 책을 통해 읽고 싶었던 것은 교육 선진국이라 일컬어지는 유럽식의 교육관을 옅보고 싶어서 였습니다.
홍세화 선생님의 <생각의 좌표> 중, 프랑스에서는 1968년의 68혁명을 계기로 대학간 성적 서열이 없어 대학 이름도 파리 1대학, 5대학으로 불리며, 대학 입학 자격 시험은 있지만 수능과 같은 서열은 없다고 한 글을 읽고 무척 부러웠습니다. 특히나 철학 시험을 필수과목으로 본다는 바칼로레아는 철학은 커녕, 자신의 역사마저 가르치려하지 않는 우리 교육 상황에서 그저 부러움의 대상일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책을 읽어본 바로는 프랑스로 대표되는 서유럽은 핀란드로 대표되는 북유럽식의 교육관 "명문대학 진학에만 올인하지 않고 학생 각자의 재능을 살려 다양한 분야의 살아있는 직업인으로 키운다"와는 다른가 봅니다.
프랑스 역시 신자유주의의 거센 물결로 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나 보네요.
그래도 스트레스 덜 받고 아이를 공부 시키는 방법을 찾는 분들에겐 유용할 수도 있는 책입니다.


오감을 활용한 공부법이라든가, 피그말리온 효과를 적극 활용한다던가, 긍정교육법 등등.
특히 이 책에선 지면의 2/3를 할애해 마임드 맵 교육법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혹시나 이책이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저처럼 공부는 타고 난 사람이 하는 것이고 평범한 보통 사람들은 자기 하고 싶은 일하면서 살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 진짜 공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책은 패스 하시길.....
---한우리 카페 서평단으로 북라이프에서 제공된 책으로 작성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