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오면 가께 한림 고학년문고 31
기시모토 신이치 지음, 강방화 옮김, 야마나카 후유지 그림 / 한림출판사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잠깐. 누구나 잘하는 일과 못하는 일이 있잖아. 내가 아무리 열심히 해도 수학 문제를 풀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야. 유타는 다른 사람에 비해서 못하는 것이 좀 많을 뿐이지." 

 

완벽한 100점짜리 인간은 없다.

하물며 아이들이 아닌가?

'자라는 아이들에게 문제가 없다면 그게 더 문제'라던 김용택 시인의 말이 생각난다.

 

어느 봄날, 5학년 3반으로 5학년이 되도록 글자도 못쓰고, 숫자도 못세는 지적 장애를 가진 유타가 전학을 온다.

5학년 쯤되는 아이들이 모인 교실이라면 매일매일이 전쟁터 같을텐데, 수업에 집중하지도 못하고, 아무때나 소리지르고, 떼쓰고, 제멋대로인 유타까지 가세한 그 교실 풍경이 어땠을지...

 

그래도 아이들은 유타와 좌충우돌하면서 서로 어울려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해나간다.

심장병을 가진 사유는 물을 무서워하는 유타에게 물과 친해지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아빠를 그리워하는 문제아 겐지는 늘 떼쓰는 유타를 도와주면서  아빠같은 친구가 되고, 언제나 권위적이던 교장 선생님은 유타로 인해 마음을 열게 되고, 선생님이란 직업에 대해 회의하던 미나미다 선생님에겐 교사로서의 사명감을 갖게해준 마법같은 일이 일어난다.   

 

만약에 유타 친구가 우리 아이 반에 전학을 온다면 과연 어떤 일이 일어날까?

 

대부분의 어른들은 노골적으로 싫어하고, 반대한다.

왜? 내 아이에게 피해가 갈까봐서.

 

완벽한 100점 짜리 인간은 없다. 

 

누구는 수학을 못하고, 누구는 지각대장이고, 편식쟁이고, 코파기 대장, 사춘기라서 남성호르몬 냄새를 어마어마하게 풍기기도 하고, 누구는 아토피를 앓고, 누구는 궁금한 게 너무 많아 수업 시간에 엉뚱한 질문을 쏟아낸다.

그래도 아이들은 그 교실에서 좌충우돌하지만 서로 어울려 함께 그리고 그럭저럭, 아주, 잘 살아간다.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세상처럼 말이다.

 

작가인 기시모토 신이치가 20여 년 교직 생활을 통해 보았던 아이들의 이야기를 고스란히 녹여낸 작품이 '봄이 오면 가께'인듯하다.

 

유타는 결국 사유에게 약속했던 반칙으로한 일등이 아니라 친구들과 협동해서 이룬 달리기 진짜 일등을 선물하고는 전학을 간다.

그리고 보내온 편지 한통.

반 친구들이 돌아가면서 가르쳐준 글자로 쓴

 

"봄이 오면 가께

새싹 볼꺼야

고맙워

안녕

 

니시무라 유타"

 

편지와 함께 보내온 심장병을 앓고 있는 사유에게 보내겠다고 했던 풍선덩쿨 씨앗.

 

혹시 알고 계신가요?

풍선덩쿨 씨앗은 요렇게 하트가 있답니다.

유타가 유난히 풍선덩쿨을 사랑한 이유를 아시겠죠.

 

올 봄에는 저도 하트가 가득한 풍선덩쿨 씨앗을 심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봄이 오면 가께'의 유타를 생각하면서 말입니다.

 

<오마이 뉴스 김민수 기자 님의 포토에세이에서 빌렸습니다.>

 

****한우리 서평단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