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의 봄 파랑새 그림책 97
이원수 글, 김동성 그림 / 파랑새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굽이굽이 재를 두 개나 넘어야 나오는 내고향 산골 마을. 

타박타박 흙먼지 길을 십리는 걸어야 나오는 학교 가는 길.

그곳에도 봄이 왔다.

 

연분홍 복사꽃이 산중턱을 수놓으면 ,

동무들은 오줌냄새 난다고 싫다하지만 나는 환장하게 좋은 싸리꽃이

하얀 소금을 뿌린듯 지천으로 피어나던 길.

 

 

 

 

 

따가운 봄햇살에 마른 목도 축이고, 

아픈 다리도 쉴 겸 개울가 징검다리 돌에 걸터 앉으면

나 좋다고 따라 다니던 코찔찔이 성재가 빨갛게 달뜬 얼굴로  살며시 내밀던 버들피리.

 

아, 나는 입에 물면 달달한 풀냄새 나는 보리피리가 더 좋은데....

 

보름달 같이 하얀 찔레꽃을

혼자보기 아까워 울엄마 주려고 한아름 꺽어가면

하루종일 들일에 허리 못펴던 울엄마

엄마 기다리다 아까 벌써 시들어버린 찔레꽃이나마 본체만체 하더라.

 

아, 나는 그게 왜 그렇게 서럽던지.

시든 찔레꽃이 내맘같아 서러운 눈물을 찔끔거리면

소쩍새가 어떻게 내맘을 알았는지 밤새 나랑 같이 울어주었지.

 

 

 

 

 

여덟 살 나는 등에 남동생을 업고도 친구들과 함께 돌고 싶었던 동네 한 바퀴.

미나리아재비 천지였던 냇가를 돌아,

영숙이 고모가 연지곤지 찍고 꽃가마 타고 시집가던 수양버들 신작로를 따라 가다보면

재너머로 시집 가서 아들 낳고 잘 살고 있다는 영숙이 고모를 만날 수 있을까 싶어

나는 오래도록 아지랑이 피던 그 길을 보고 또 보곤했다. 

 

당산나무 아래 평상에서 잠든 덕재네 할배, 순자네 할배요,

새참 먹는 막내아지매, 안골댁 할매요,

논물 보러 어깨에 삽 매고 가는 정재아재요~

 

대나무 물총 들고,

깜장고무신 신고도 하루종일이 즐거웠던 내친구

영란아, 재호야, 귀재야.....

 

 

 

 

 

봄날 그 속에서 노느라 하루가 짧았던 그때가 그립구나. 

 



 

 

나는 늘 내고향에게 빚진 것이 없다고 생각해왔는데,

이원수 선생님과 김동성 선생님이 함께 만든 '고향의 봄'을  보고는 내가 고향에게 얼마나 많은 것을 받았는지를 깨달았다.

내가 그동안 삶에 쫓겨 잊고 지냈던 그 아름다운 추억들.

그리고 친구들.

 

삼 십 몇 년 만에 고향 동무들이 그리워 가만 이름을 불러봤다.

그리고 그들에게 이 책을 보냈다.

 

"나에겐 너무나 아름다운 사람들에게 나의 고향을 선물로 보냅니다."

 

답장이 왔다.

"니가 나의 고향 앓이에 불을 당기는구나."

"그대의 고향 선물 너무나 감사하오."

 

 

*****한우리 북카페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