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가는 날 꼬리가 보이는 그림책 8
이수연 글.그림 / 리잼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재개발로 인한 강제 철거와 새로운 보금자리로의 이주, 그리고 그곳에 깃들어 있던 추억을 그린 그림책. 

그리고 이 그림책의 대상은 아이들.

 

쉽지않은 주제다.

 

당연히 분위기는 무거워지고, 그림은 어두울 수 밖에 없다.

 

부모님이 일하러 나가고 나면 혼자서도 잘 노는 나는 그림자 놀이도 하고, 강아지 랑이와 사람들이 떠난 적막한 동네 골목이지만 동네 골목을 뛰어 다닌다.

날으는 우산을 펼쳐 마지막 비행을 시작한다.

엄마, 아빠가 다니는 공장, 불빛도 집도 하나씩 사라지고 있는 우리 동네.

그 가운데 한 줄기 불빛이 있어 나와 랑이는 그곳으로 날아가본다.

동네를 지켜주던 성당.

그 성당 너머엔 포크레인에 부서지는 우리 동네가 있다.

 

우리집도 이젠 이사를 간다.

"아빠, 우린 어디로 가는 거야?"

"랑이가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곳...."

 

달동네를 벗어나는 초라한 짐을 실은 이사 트럭.

어쩌면 우리가 이사할 동네도 지금과 비슷한 동네 일지도 모른다. 

 

온통 잿빛과 빛바랜 누런 빛의 물에 번진듯한 그림이 철거로 인해 떠나야 하는 이의 젖은 마음을 보는듯하다.

 

아이들과 책을 읽다보면 가끔은 아이들이 이해하기엔 너무 무거운 주제가 아닌가 싶은 책이 있다.

너새니얼 래첸메이얼의 '부러진 부리'란 책을 초등2학년 교실의 아이들에게 읽어준 적이 있다.

얼마나 이해할까 싶은 걱정을 많이했다.

그런데 내 염려보다 아이들은 오히려 더 많은 몰입을 했던지,

'마음이 우울해요, 둘이 친구를 만나 다행이예요, 외롭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노숙자를 놀리지 않을꺼예요.....'

기대했던 이상의 반응이었다.

 

표지를 통한 이 책의 첫 느낌은 무서운 판타지인가 싶었다.

온통 잿빛의 달동네 풍경에다가 정리되지 않은 듯한 헝크러진 머리의 소녀, 지저분하게 털이 자라버린 강아지에 우산.

맨발의 소녀가 입은 옷은 잠옷인가 했다.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이 모두 아름다운 그림일 수는 없다.

아픈 현실을 다룬 그림책이다보니 사실적이어야 할 때가 있다.

 

그러나 이 책을 보면서 하나 꼭 지적하고 싶다.

표지 그림속의 여자 아이는 사실 내 눈에는 입이 찢어지고 눈이 뻥 뚫린 마녀로 보였다.

그래서 표지를 넘겨 내용을 확인하고 싶은 생각이 안 들었다.

 

그런데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내용에 대한 소개를 읽었기 때문이다.

표지 그림을 수정해보면 어떨까 조언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