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BS 명작 스캔들 - 도도한 명작의 아주 발칙하고 은밀한 이야기
한지원 지음, 김정운.조영남, 민승식 기획 / 페이퍼스토리 / 2012년 10월
평점 :
명작, 명작, 명작이라고 하는데 과연 명작이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좋다고 평하는 작품.
아니면 값이 아주 비싼 작품.
고차원적인 철학이 담긴 걸 명작이라고 해야하나?
지금은 명작이라고 칭송 받는 건축물이든, 그림이나 음악도 한 때는 많은 사람들이 외면하던 때가 있었고, 심지어 고호의 그림은 팔리지도 않았다고 했고, 팝아트라 불리는 그림은 고차원적인 철학을 하는 사람들로 부터 외면 당하기도 했으니 명작과 졸작을 가르는 기준으로 삼기는 어렵다.
나는 명작의 기준을 이야기 할 꺼리가 얼마나 많으냐로 삼고 싶다.
건축물의 명작으로 첫 손가락 꼽는 가우디의 성가족 성당은 아직도 끊임없는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디자인에 대해서도, 과연 무엇을 보고 만들었을까,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나는 옥수수심 같다), 곳곳에 숨겨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안 보이기도 하는 많은 조각품들과 구조물, 공사에 걸린 시간, 규모, 한 도시와 국가를 먹여살린다고 하는데, 과연 완성이 되기는 할 것인가....
그리고 무엇보다 가우디의 사망 이후 성가족 성당은 향후 어떻게 될것인지 나는 무척 궁금하다.
이 책에서는 주로 숨겨진 코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명작은 이렇게 그를 알든 모르든, 그 성당을 직접 보지 못한 사람들 마저도 궁금함에 끝이 없고, 할 이야기가 무궁무진하다.
김명국의 그림은 교과서에도 나오지만 나의 경우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김명민 씨가 나왔던 '조선 명탐정 각시투구 꽃의 비밀'이란 영화를 통해서다.
이 영화에 김명국이 그린 그림이 나오는데 '당나귀를 타고 가는 술취한 노인'을 두고 여자 주인공과 이야기를 나누는데 김명국과 술에 관한 일화가 등장한다.
그림만 보았을 때는 그저 당나귀를 타고가는 노인이 있는 풍경 쯤으로 여겼는데 그림의 한 부분 만으로도 술취한 김명국이 그린 그림이 맞을까 아닐까, 자신의 모습은 아닐까, 애절한 이별의 장면이라고 해석하는데 불륜 남녀의 이별일까, 부모자식의 이별 일까, 혹시 귀향가는 길은 아닐까, 김명국이 활동하던 당시는 인조반정의 시기라는데 혹시 야반도주는 아닐까. 설중취려도를 보면서 떠오르는 이야기들이다.
조선 시대 사대부가에선 화가들을 초빙해 거금의 그림 값을 지불하고 그림을 그리게 했는데, 그 그림이 완성되면 손님들을 청해 함께 감상하며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한다. 그리고 두고두고 감상회를 열었다고 하니 볼 때마다 할 이야기가 얼마나 많았을까.
세계적으로 유명한 무슨무슨 미술관에 꼭 있는 풍경 중 하나가 아침부터 한 작품 앞에서 계속 그 작품만을 쳐다보며 하루를 보내는 관람객들이 있다고 한다. 그 사람이 바라 보는 그 작품이 바로 그 관람객에겐 세상 최고의 명작이 아닐까?
비틀즈만 해도 우리는 몇날 며칠을 날밤 세워 이야기해도 끝이 없지싶다.
귓가를 맴돌며 우리의 감성을 달콤하게 간지르는 듯한 폴 메카트니의 노래와 현실에 대한 냉철한 비판이 담긴 존 레논의 노래에 대한 이야기에 끝이 있을까?
해마다 연말쯤이면 방송국 음악 프로그램에서 일년동안 가장 사랑받은 노래를 발표하곤 했는데 그 1,2위는 늘 두 사람의 노래였던 기억이 난다.
그간 '그림 읽어주는 ***"라거나 '오페라 들려주는 **' 라고 해서 명작에 관한 해설서가 심심찮게 나왔지만 이 '명작스캔들'처럼 부담 없는 책은 없었다.
누구나, 나같은 주머니 가벼운 사람들도, 지식이 짧은 사람도 공감할 수 있는 명작이라니 얼마나 좋은가.
'우리도 문화라는거 좀 누리고 살아도 되지 않나?' 이런 의도로 출판된 책이라고 본다.
나는 그런 의도대로 전문적인 지식이나 고차원적인 평론에 대한 부담감 없이 소박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나의 명작을 즐겨본다.
****네이버 한우리 북카페의 지원으로 작성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