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늙은 여자 - 알래스카 원주민이 들려주는 생존에 대한 이야기
벨마 월리스 지음, 짐 그랜트 그림, 김남주 옮김 / 이봄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으로 더 어려운 시기가 닥칠 때 우리가 저들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게 될 거야.

 

 

 

 

노인 한 사람이 죽을 때마다 도서관 하나가 사라진다고 했던가요.

주위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노인이 있는가 하면 가끔은 그저 쇠고집으로 똘똘 뭉친 골칫덩어리 뒷방 노인같이 두 손 두 발 다 들게 하는 노인네들도 있습니다. 왜 그럴까 생각해보면 타고난 기질도 있겠지만 삶의 이력 때문인 경우가 많지요.

나이 듦, 노화, 늙음은 지금 우리 사회에선 혐오입니다. 멀리 갈 것 없죠. 가스통 할배 할매,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광장에선 노인들, 지하철 노약자석 양보를 두고 핏대를 세우는 노인들.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 어디에도 존경이라거나 삶의 경륜에서 풍기는 권위같은 건 보이지 않습니다.

슬프지요.
그들도 젊었던 때, 아니 어렸던 때가 있었으니까요. 게다가 늙고 싶어서 늙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잊혀진 미래라는 책에 이누이트족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혹한기 식량이 바닥나서 모두가 굶어 죽을 위기가 닥치면 노인들은 몰래 눈보라 속으로 걸어들어 간다고 해요. 더 이상 부족에게 짐이 되지 않고 남은 부족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지요.

소설 두 늙은 여자도 같은 위기에 처한 늙은 인디언 여인들 이야깁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 소설 속 노인들은 자기가 선택한 것이 아니라 부족에게 버림받았다는 것입니다.

굶주림으로부터 부족을 지키기 위해 부족에게 도움도 되지 않고 짐만 돼 온 '''칙다야크'를 버리고 간다는 추장의 말에 부족민들도 두 늙은 여인도 당황하지만 맞서지 못합니다. 이런 위기에 비슷한 결정을 하곤 했으니까요.

버려진 두 노인은 어떻게든 살아가야 합니다. 여태 젊은이들의 돌봄에 감사도 잊고 늘 불평불만만 하던 두 노인은 옛 시절 기억을 더듬어 사냥을 하고 다른 부족의 위협을 피해 이동하며 살아갑니다. 이럴 때 필요한 건 역시 경험으로부터 나오는 살아남는 지혜를 발휘하는 것입니다.

혹한을 견디며 살아남은 두 노인은 왜 더 일찍 부족민들의 보살핌을 감사하며 살지 못했나 반성합니다.
시간은 흘러 혹한의 겨울이 다시 찾아왔고 자신들을 버리고 떠났던 부족에게도 지난겨울과 똑같은 굶주림이 반복됩니다. 두 여인을 버리고 간 것에 대한 죄책감에 두 여인을 찾아 나서는 부족 사람들.

과연 그들은 어떤 모습으로 서로를 조우하게 될까요? 자신을 버리고 떠난 자식을 늙은 여자는 용서하게 될까요?

약간은 동화 같은 쉬운 문장과 빠른 이야기 진행으로 단숨에 읽어버린 책입니다.
이야기와 함께 나오는 그림도 이야기를 이해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되네요.

저도 어느새 나이가 꽤 들었습니다. '나이가 든다'가 아니라 '늙어 간다'로 표현하는 게 어울릴 때가 된 거죠. 그러다 보니 최소한 위에 예로 들었던 꼴통 노친네가 되지는 말자 생각을 다잡곤 합니다.

아이들이 읽으면 좋지 않을까 해서 읽은 책인데 오히려 제가 어떻게 나이 들어야하는가를 생각하게 된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