앗! 따끔!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25
국지승 지음 / 시공주니어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하플이에요.

오늘은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25번째 책인

<앗! 따끔!> 을 소개해드리려 해요.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은 시공주니어에서 나온 단행본 도서인데요.

잠깐의 감수성을 충족시키거나

어린이에게 무언가를 배우길 강요하는 것이 아닌,

예술을 향유하는 기쁨을 알려주고

어른이 되어서도 감동을 간직하게 하는 책을 만들려는 시공주니어의 책이다보니

내용이나 완성도가 정말 훌륭하다는게 특징이랍니다.


아이들에게는 즐거움을, 어른들에게는 감동을 선사하는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한번 살펴보시죠!

 

 

<앗! 따끔!>은

병원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의 마음을 잘 표현해낸 즐거운 그림책이랍니다.


아이들이 조금 크면, 병원에 가기 싫어하게 되죠!

사실 저만해도 병원 가기 싫다고 길바닥에 누워서 울었던 기억이 있는지라.. ㅎㅎㅎ

살짝 공감도 가요!

작가님부터 병원 가기 싫어하는 조카들을 보고 책을 만들었다고 하니

대부분의 아이들이 보편적으로 싫어하는 곳 중 하나인거 같아요. ㅋㅋ

 

준혁아, 아침 먹고 병원에 갔다 오자!!


준혁이가 아픈지 얼굴이 발그레하네요.

얼른 병원에 가서 주사를 콕 맞으면

금방 씻은듯 나을텐데요~ 그쵸?

 

엄마! 난 준혁이가 아니라

사자에요!!


병원에 가기 싫어서 이런저런 꾀를 부리는 준혁이랍니다.

생각해보면 저도 어렸을때 이랬던 적이 있었던거 같아요.

아침에 일어나기 싫어서 난 게으름뱅이 나무늘보야~~ 하면서

이불에 매달려서 한참동안 나가질 않았던 적이 있거든요.


에.... 어쩐지 어렸을때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ㅋㅋㅋ

 

 

사자는 병원에 안 가요!

사자가 얼마나 힘이 센데요~?


엄마가 설거지를 하면서

시크하게 사자도 아프면 병원에 가야한다고 이야기해요.


복숭이는 이런 꾀 부리지 않을거지? 그치~?

 

 

복숭이는 독서삼매경~

준혁이가 뿅뿅 다른 동물로 변하는 모습이 신기한가봐요.

사자가 나오면 어흥~

돼지가 나오면 꿀꿀~

하고 자기도 아는 동물이라고 아는척을 하네요. ㅎㅎ


17개월 아기라도 즐겁게 볼 수 있는 그림책이라죠! 

 




난 거북이라 늦을수 없다고 핑계를 대는 준혁이~

걱정마. 우리는 버스를 타고 가거든!





 

의자에 앉아서 기다리렴~ 했더니 카멜레온으로 변해서 숨었다가

간호사 선생님이 오준혁 어린이, 들어오세요~ 했더니

이번엔 다람쥐가 되어서 도망쳐요.



복숭이도 병원에 가서 의사선생님을 딱 마주치면

싫다고 마구 울어대는데

나중엔 다람쥐로 변해서 뿅 도망치는거 아닐까 걱정이 되네요 ^^;;

 

 

앗, 복숭이가 아는 동물로 변신했네요!

복숭이는 신이나서 악어! 라고 이야기해요.


준혁이는 악어는 딱딱해서 주사 못 맞는대요~~ 

주사 싫어~ >.<


앗, 따끔!!

별로 아프지 않네?



주사를 다 맞고 난 준혁이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궁금하면 오백원!!


병원가기 무서워 하는 우리 아이들과 함께 읽으면 무척 재미있겠어요.


운율이 있는 내용과 위트넘치는 그림이 무척 즐겁네요.

복숭이는 한번 더 읽어달라고 아우성이네요~


아이의 심리묘사가 무척 세심하죠?

그림도 재미있는데다, 글밥도 많지 않아서 부담없이 읽어주기 좋은

네버랜드 우리걸작그림책♪ 앗! 따끔! 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구리의 낮잠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39
미야니시 타츠야 글 그림, 한수연 옮김 / 시공주니어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네버랜드 걸작 그림책 시리즈인

개구리의 낮잠 책을 받았답니다.


미야니시 타츠야의 작품의 유쾌한 이야기를 직접 읽어볼 수 있어서 참 좋았어요!!








개구리가 낮잠자는 동안 벌어지는 흥미로운 이야기들...

과연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한번 살펴보실래요?







장마때문에 개구리가 기운이 없어요~ 

비가 오지 않아 힘이 없답니다.

그때 불쑥 나타난 뾰족한 다리.

뭐지?







앗, 사마귀다!!!

개구리는 그래도 일어나지 않아요.

사마귀가 커다란 앞발을 들어올려

개구리에게 덤벼들려 해요.


개구리야, 위험해~!!







바로 그때!!

밑에서 무엇인가가 불쑥 올라왔고,

사마귀는 파드닥 도망쳤어요.


이건 뭐지?







아앙~ 도마뱀이 또 개구리를 위협해요.

그래도 개구리는 쿨쿨 잠만 자네요. 


바로 그때!!


무엇인가가 밑에서 또 올라왔고,

도마뱀은 도망쳤어요.

수염이 있고 발이 뾰족한

동물은 뭘까?







앗, 쥐였어요!!

쥐는 개구리를 잡아먹으려고 입을 앙 벌렸죠.


바로 그때!! 







꺅! 뱀이다!!

뱀이 나타났는데도 쿨쿨 잠들어 있는 개구리~

생쥐는 놀라서 달아났답니다.







개구리는 쿨쿨 잠을 잔답니다.

개구리를 잡아먹으려는 동물들은

더 힘센 동물들을 보고 달아나버렸죠. 


쿨쿨 잠자는 개구리는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요? +_+


결말은 가르쳐주지 않을래요. ㅎㅎ



운율이 살아있는 내용이라

아이에게 노래하듯 읽어줄 수 있어서 좋았어요.

아랫쪽에 어떤 동물이 숨어있는지 예측해 볼 수 있는 놀이도 할 수 있었구요.


복숭이가 조금 더 자라면 동물들의 먹이사슬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 볼수 있겠죠?

자연의 순리대로 살아가는 동물들의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낸 이야기.

개구리의 낮잠~!


흥미진진한 구성으로 되어있어서 아이들에게 읽혀주기 딱 좋을 것 같아요!


네버랜드 그림동화책과 함께 아이의 상상력도 업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디에 있을까?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45
이재희 글.그림 / 시공주니어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디에 있을까?>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의 45번째 책이랍니다.

우리 정서에 잘 맞고, 그림과 내용이 풍부하고 다양한

아름다운 그림책인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의 최신간이지요.♬


사실 제목만 보고는 물건이나 사람을 찾는 내용일까? 하고 생각했었는데
제 예상을 보기좋게 깨트리는 책이었네요. ㅎㅎ





어린 시절, 기억에 남는 물건들이 많이 있으실거에요.
오래 전 그리웠던 추억들을 생각하다보면
그 시간을 함께 했었던 물건들이 있지요.
그런데 그 추억 가득한 물건들은 대체 어디로 갔을까요..?
시간과 함께 흘러가버렸던 물건들..


대체 어디로 갔을까? 



 




아.. 내 연필.

다람쥐가 뗏목을 만들어 둥둥~

행복한 여행을 떠나고 있겠구나.


물건에 담긴 어린날의 추억들과 함께
지금쯤 동물들이 사용하고 있을거라는 마음 따뜻해지는 상상을 해봐요.


아름다운 색채의 그림이 마음을 포근하게 해준답니다.





누구나 아끼던 물건을 잃어버리고 속상했던 기억이 있을거에요.


“저는 어렸을 때 물건을 자주 잃어버렸고 대부분 찾지 못했어요.

심지어 그것들을 정확히 어디서 잃어버렸는지도 알 수가 없었죠.

그러다 가만히 생각해 보았어요. ‘혹시 나 몰래 동물들이 나타나 내 물건을 가져가 버린 건 아닐까?’ 하고요.

이런 상상을 하면 기분이 좀 나아졌어요. 이 책은 바로 그 상상에서 시작되었죠.”


이재희 작가님이 이 책을 쓰게 된 계기인데요.
무척 사랑스러운 생각이네요.
저는 어린시절 물건을 잃어버리면 속상함에 엉엉 울곤 했었답니다.
누군가가 소중하게 쓰고 있을거라는 생각은 해본적이 없었네요. ^^;





그래. 어딘가에 잘 있을거야.


물건을 잃어버린건 속상하지만

그 물건에 대한 기억은 그대로니까.

그리고 그 물건은 누군가가 잘 쓰고 있을테니까.

그러니까 울지 말렴.


물건은 물건일 뿐이야.

가장 소중한 추억은 기억속에 그대로잖니?



잃어버린 것에 대한 사랑스러운 생각이 가득한 이야기.

풍부한 색이 가득한 환상적인 그림에 더욱 즐거운 책.

어디에 있을까? 를 읽어보고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면 참 좋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