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스티브 잡스를 이렇게 뽑았다 - 스티브 잡스의 유일한 상사, 아타리의 창업자에게 직접 듣는 괴짜 인재 경영법
놀란 부쉬넬 & 진 스톤 지음, 한상임 옮김, 한근태 감수 / 미래의창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만을 보면 고인이 되신 스티브 잡스 이름으로 책 팔기 위해서 쓴 책인 줄 알았다.

 

하지만 놀란 부쉬넬이라는 작가를 알고 나서는 무언가 배울 점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놀란 부쉬넬은 1972년 게임회사 아타리를 창업하여 탁구 게임, 벽돌 게임 등을 개발하여 전 세계적인 붐을 일으킨 인물이다.

 

무엇보다 그는 창조적인 인재들을 알아보는 탁월한 안목이 있었으며 50여년간 창조적인 인재들이 발전할 수 있도록 회사 여건을 개선하고 그들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특히 스티브 잡스의 역량을 많이 키워준 인물이라는 점에서 배울점이 상당하다고 생각한다.

 

현재에도 브레인 러쉬라는 회사에서 뇌 과학의 최근 연구 내용을 적용해 교육 과정을 강화하고 개선하는데 열정을 쏟는다고 하니 나이 들어서도 끊임없는 도전과 창의성을 개발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것 같다.

 

책 내용에서 창조성을 기르는 그리고 관리자가 직원들의 창조성을 어떻게 길러야 되는지에 대한 구절이 있어 몇 구절 써 보고자 한다.

 

한 예로 내가 아타리의 CEO 였을 때 직원들이 사무실에 개를 데리고 오지 못하도록 했다. 개가 없더라도 이미 사무실을 충분히 혼란스러웠다. 하지만 당시 아주 명석한 엔지니어 한 명을 만나게 됐는데 그는 자신의 개를 너무나 사랑해 사무실에도 데려오고 싶다고 계속 고집을 부렸다.

그것을 허용하지 않으면 다른 일자리를 찾겠다고 했다. 그 규칙을 완화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이 엔지니어를 데려올 수 없었을 것이고 그의 특출한 창조성 또한 사용할 수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예외를 둔다고 해서 그 문제가 해결되진 않았다. 그가 개를 데려온다는 것을 본 다른  직원들도 그렇게 하고 싶어했기 때문이다. 사무실이 개 사육장으로 바뀌기 전에 참신한 해결책을 찾아야만 했고, 결국 솔로몬식 결정에 이를 수 있었다. 다른 직원들에게 "매일 개를 데려오는 것을 안 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허용도니다." 는 예외 사항을 적용한 것이다. 여기에 모두 동의했고, 문제는 해결 됐다.(우리는 결국 그 엔지니어의 개를 아주 좋아하게 되어 그 개한테 사원증과 사번까지 주며 '채용'하기로 했다...) - p15

 

 

-----------우리나라에서의 왠만한 회사에서는 절대 상상할 수 없는 일 아닌가?

외국이어서 그런가?  창조적인 엔지니어를 얻기 위해 때론 규칙을 바꿀 수 있다는 내용에 나 역시도 이런 회사에서 근무했음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열정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열정을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곳은 바로 눈이다. 스티브 잡스는 다른 사람과의 대화할 때 장황하게 말을 늘어놓지 않고 완전히 집중해 상대방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곤 했다. 열정을 가진 사람들은 인터뷰를 할 때 결코 불안한 눈빛을 보이진 않는다.

상대방에게 확실을 줘서 자신을 뽑도록 하는 것을 본인의 몫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그들은 당신의 눈을 자신있게 쳐다본다 -p45

 

--------------나도 이래야 겠다는 생각 해보게 되었다..

 

취미는 단순히 열정과 창의력을 보여 주는 신호에서 그치지 않는다. 취미가 있으며 계속해서 지식의 폭을 넓혀가게 된다. 모델 기차를 좋아했던 직원을 예로 들면 그는 어떤 타입의 기차를 만들기 정하기 위해 시대별로 각기 다른 기차 레이아웃을 조사했다. 그러다가 석탄이 증기로 바뀌면서 기차에 동력이 되는 과정에 관심을 갖게 됐다. 가스를 팽창시키는 첨단 포인트가 현재로는 실용적인 지식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는 나중에 기학을 이용해 생동감 있는 피자가게 캐릭터를 만들어 낸 장본인이 됐다. -p55

 

-------------- 수많은 취미는 결국 나를 살찌게 한다. 많은 취미를 갖자...

 

 

만약 직원들이 한동안 실패를 하지 않았다면 그것은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시도를 거의 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나는 어떤 의미에서는 아주 형편없는 아이디어들이 인정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패를 축하하면서 이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 보는 것은 어떨까? -p159

 

---------------이런 회사에서 일하고 싶고, 현재 다니는 회사가 이런 마인드였음 좋겠다.

 

가격이 너무 높아 지금 당장은 상품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이 난다 하더라도 혁신으로 이르는 길을 종종 부유층부터 시작된다는 점을 명심하라. 처음 전화기가 나왔을 때는 왠만한 부자가 아니면 사용할 수가 없었다. 비행기, 자동차, 컴퓨터 등이 처음 나왔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부유층은 자신들의 삶이 더욱 편리하고, 즐겁고, 생산적일 수 있도록 끊임없이 신제품에 눈을 돌린다. 창의적 인재들은 이러한 수요에 맞춰 상품을 개발한다. p216

 

---------------생각의 다양화는 중요하다. 책의 한 챕터에 나오는 "부자들을 위한 상품을 만들어라" 라는 챕터는 결국 기술의 발전을 부자들이 투자를 했기 때문에 점점 발전되어 가격이 저렴해지고, 저렴하게 상품으로 출시되었다는 설명이었다.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좀 씁쓸했다...

 

--------------------------------------------------------------------------------------

 

창조적인 인재를 얻고, 그들의 창조성을 개발시켜 주고, 나 자신의 창조성을 개발하는데에 어떤 것이 필요한 것인지를 알고자 한다면 목차에서 나오는 52개의 항목을 읽다보면  한 가지라도 얻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일단은 스티브 잡스라는 인물을 키우는데 일조를 한 인물이 쓴 책이기 때문이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