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빗 - 내 안의 충동을 이겨내는 습관 설계의 법칙
웬디 우드 지음, 김윤재 옮김 / 다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6/10]

책을 잘 골랐다. 습관에 대해 균형잡힌 이야기를 하는 책이 또 있을까.


그간 접한 자기계발 또는 성공에 대한 책들은 의지력 혹은 노력을 지나치게 강조해왔다. 실패의 원인을 의지박약이나 게으름으로 치부했다. 대표적인 표현으로는 남탓, 환경탓을 하지 말고 자기의 문제를 들여다 보라는 말이 있다. 반은 맞지만 전부 맞은 건 아니다. 이것을 우리는 경험적으로 알고 있지만 별 이의없이 수용한다.


치열한 전장에서 조금 떨어져있는 학계는 이 신화에 대해 꾸준히 지적해왔다. 여러 분야를 통해서였다. 사람들의 직관적 해결책보다 간단한 조치가 큰 변화를 불러온다는 「넛지」,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의 이면에 있는 비밀을 다룬 「단어의 사생활」, 인간의 의지력이 생각만큼 취약함을 드러낸 「의지력의 재발견」 등 여러 책이 있다. 모두 사람의 합리성과 의식의 힘을 전제로 한 기존 관념을 깨뜨렸다. 


(추가로 언급하자면 대표격인 책으로 대니얼 카너만의 「생각에 관한 생각」이 있다. 또한 열정과 집념이 있는 끈기를 성공의 열쇠로 분석한 「GRIT」도 다른 뉘앙스로 기존 관념을 엎었다.)


이 책들을 포함해 「해빗」이 잡고자 하는 균형의 열쇠는 바로 ‘비의식적 자아’에 있다. 의식적 자아(의지력)을 이야기하면서 자연스레 과소평가된 비의식적 자아의 가치를 제자리로 돌렸다.


개괄적으로 보자면 습관의 형성에서 그 시작은 목표와 동기, 최소한의 노력의 반복이 있지만 생각만큼 그 비중이 크지 않다. 도리어 인간은 지속성의 핵심인 비의식적 자아에 충분히 영향력을 줄 수 있기에 습관을 형성하고 완전하게 한다. 목표를 이루지 못한 자신을 절하하거나 인지부조화로 고통스럽게 스트레스를 받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불균형은 전체를 이야기하지 않고 부분만 이야기할 때 생긴다. 언급되는 것은 인간의 의식에서 자연스레 비중이 높아지고 언급되지 않는 것은 반대로 된다. 이 책이 균형잡힌 이유는 단순히 기존 관념(의지력)과 반대되는 이야기를 해서가 아니다. 의식적 자아와 비의식적 자아에 대한 내 인식이 왔다갔다할 때마다 편향되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었기 때문이다. 즉 습관 형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기존 책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언급되었어야할 비의식적 자아를 꺼냄으로 균형을 맞춘다.


물론 단순히 균형잡기에만 이 책의 의의가 있지는 않다. 개인적인 습관을 넘어 문화라는 다수의 습관/행동양식까지 다룬다.


사람은 합리적이면서도 비합리적이다. 사람은 비합리적이면서 합리적이다. 1만 시간의 법칙은 마케팅용 표현이면서도 의의가 있다. 1만 시간의 법칙은 의의가 있으면서도 마케팅용 표현에 불과하다. 문자는 의도를 정확히 담을 수 없지만 충분한 때가 많다. 이 책을 읽으면서 구체적으로는 자신의 습관을 어떻게 형성할지 돌아보면서 넓게는 균형잡힌 인간관을 가졌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