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쓰는 수학의 역사 - 당신이 수학을 사랑하게 만들 책 : 젠더·인종·국경을 초월한 아름답도록 혼란스럽고 협력적인 이야기
케이트 기타가와.티모시 레벨 지음, 이충호 옮김 / 서해문집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메인 주도 설계 -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을 다루는 지혜 위키북스 IT Leaders 시리즈 13
에릭 에반스 지음, 이대엽 옮김 / 위키북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놀라운 고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이썬 프로그래밍 - 컴퓨터 과학.데이터 과학 입문을 위한
John V. Guttag 지음, 김영섭 옮김 / 홍릉(홍릉과학출판사)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지금 8장을 읽고 있는데 아주 좋은 책입니다. 


aliasing, exception, testing, debugging처럼 다른 입문서들에는 잘 나오지 않거나 피상적으로만 논의되는 것들을 명쾌하고 우아하게 설명해 줍니다.


다만 프로그래밍 초보자가 독학으로 읽기에는 부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려운 개념은 친절하게 설명해주지만, 다른 책들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개념들은 간략하게만 설명하고 넘어간다는 느낌입니다. 특히 예제 코드에 대한 설명이 많지 않아 처음 프로그래밍을 해보시는 분들이 독학하다가 프로그래밍을 멀리하는 계기가 될까 우려됩니다.


파이썬의 입문서라고 볼 수는 없고, 프로그래밍의 맛을 아는 분들이 프로그래밍의 '과학'(과 그 활용)에 본격적으로 입문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는 책으로 생각됩니다. 곁에 친절한 선생님이나 똑똑한데 친절한 친구가 있다면 아마도 최고의 교재가 되겠지요.


또 번역이 썩 나쁘지는 않으나(소소한 오역이 더러 있습니다), 예제 코드는 역자가 python 3.x 기준으로 수정한데 반해, 본문은 그렇지 않은 부분이 가끔 있어 다소 오해가 생길 수도 있겠네요. 역자 말로는 python 2.x와 3.x의 두 코드를 모두 제시하셨다고 하지만, 2.x 버전의 코드는 대부분 누락되었는지 빠져있습니다.  맨처음 앞부분의 print 구문만 해도 2.x는 괄호를 사용하지 않는데  이 설명이 되어 있지 않네요. 사소하지만 독학하는 초보자에게는 출력된 괄호가 영 거슬릴 겁니다:) raw_input 같은 것은 한 번 역주가 나온 뒤, 그 뒤에는 그냥 input으로만 나오네요.


하지만 큰 문제가 될 만한 부분은 없으니, 파이썬을 어느 정도 공부한 분이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을 해보신 분(예컨대,  134쪽의 __init__의 앞뒤 밑줄이 한 개로 보이지만 실은 밑줄 두 개란 것을 알만한 분들: 이런 부분은 번역이 아니라 원저가 설명 안 한 부분입니다)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프로그래밍 초보자 분이라면 얇은 파이썬 입문서를 골라 끝까지 공부하신 후, 이 책을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적분학 : Calculus MSE 시리즈
Carol Ash.Robert B. Ash 지음, 김광수.최형규 옮김 / 한빛아카데미(교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도함수와 부정적분에서, 편미분과 중적분에 이르끼까지 미적분학의 개본 개념들을 아주 명쾌하면서도 흥미진진하게 가르쳐주는 최고의 책입니다. 아마존에서도 아주 좋은 평을 받고 있습니다. 이런 수학 책이 더 많이 나오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로벌 지식장과 상징폭력 - 한국 사회과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경만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학술계를 비판적으로 논의하지만 한국의 교수임용과정에 대한 논의는 쏙 빼놓는다.(저자가 `유학파`라니 국내의 학위논문 인준 과정은 차치해 두고라도 말이다.) 결국 `피에르 하버마스`(한국 사회학계를 이끌고 나갈 후학)들에게 속 빠진 찐빵을 내놓으며 논점만 흐리고 있는것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