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
김주영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이런 내용의 소설이 싫다. 너무 지긋지긋한 행패를 부리는 사람들과 그것을 또 참고 견디는 사람들. 둘 다 견디기 힘들 정도로 싫어하는 인물 유형이다. 이 소설은 그런 사람들로 채워져 있다. 언제나왔는지 기억도 가물가물한 <홍어>도 나는 사실 그다지 재미있거나 흥미롭게 읽지 못했다. 부재한 아버지와 그를 기다리는 어머니. 독립운동을 하는 것도 아니고 뭐 거창한 사업을 하는 것도 아니고 바람을 피우거나 노름을 하는 남편이자 아버지라니. 용납할 수 없다. 그런데 끈질기게 김주영이라는 작가는 이러한 모티브를 가지고 소설을 쓴다. 무엇을 말하고 싶을 것일까.

<빈집> 역시 노름을 하는 아버지가 나오고 아버지를 기다리는 어머니가 나온다. 당황스럽게도 이 어머니는 어머니라는 이름이 아까울 정도다. 첩을 두고 노름을 하는 아버지만을 기다리는 것이 어머니의 일이다. 자신의 딸은 방치다. 아니 방치면 차라리 낫지, 끊임없이 학대한다. 학대도 습관이 되는 걸까. 습관처럼 또 딸은 그것을 받아들인다. 그리고 그 학대는 결혼 후에도 이어진다. 결코 감정이입하고 싶지 않은데 자꾸 떠올라 욕이 저절로 솟구친다. 이런 세상에 형편없는 쒸레기 같은 남자 사람 혹은 여자 할머니 같으니라고... 그녀의 남편과 시어머니는 말이 필요없다. 마치 아내이자 며느리를 괴롭히기 위해 태어난 인물들 같다. 그리고 그녀는 그런 집에서 쫒겨나다시피 한 채 자신의 이복언니는 찾아간다.

이복언니의 삶 역시 평탄치 않다. 집채만큼 큰 몸집에 바람을 피는 남편에, 어느 것 하나 변변한 것이 없다. 그런 이복언니와 그녀의 내면은 그러나 섬세하게 그려져 있지 않다. 겉으로 드러나는 대화와 행동들로 얼핏얼핏 드러날 뿐이다. 건조하게 서술되는 그녀들의 대화는 그러나 참 서럽다. 둘의 여행은 무엇을 찾아가는 것이었을까. 지지리도 못났던 자신들의 생애지만 그래도 삶이란 것은 끈질기게 이어갈 수 밖에 없다는 뭐 그런 것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

작가가 내민 <빈집>이라는 제목은 또 뭘까. 뒤틀리고 억눌린 모든 인물들의 상처입은 내면은 결국 텅 빈 빈집과 같이 허허롭고 사람이 찾아들지 않는다는 의미일까. 끈질기게 묘사되는 우리 윗세대의 가부장제와 폭력적 가족의 형태에 대해 작가가 비난만을 퍼붓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동조하는 것도 아니지만, 그 시대는 그 시대대로 이해하고, 그 이후의 시대는 더 이상 이와 같은 질곡을 되물림하지 말자라는 의도인 듯 한데, 이 또한 정확치 않다. 그저 그런 시대를 다시 되돌아보면서 현재 그 내려온 상처를 쓸어안고 사는 사람들을 위로하는 정도가 되지 않을까.  

그래도 내가 만약 그런 삶을 살았던 사람이라면 너무 아플 것 같다. 상처를 다시 들쑤시는 것 같아서. 아프냐? 나도 아프다. 그래도 그 상처를 딛고 새롭게 돋아나는 새살같은 여린 너의 마음을 보라고. 글쎄, 과연 위로가 될까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