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완용을 쏴라 - 1925년 경성 그들의 슬픈 저격 사건 ㅣ 꿈꾸는 역사 팩션클럽 1
김상현 지음 / 우원북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언문신문차압기사집록"에 기록된 "이영구가 이완용을 암살하려다가 실패하다"
라는 짧은 글이 이 소설이 탄생한 배경이 되었습니다.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에 주목한 작가의 호기심과 상상력이 더하여
일제강점기의 치열했던 투쟁과 이념적 갈등을 소설적인 허구의 요소와
실존인물들의 자연스러운 조우를 통하여 긴박하고 절박했던
상황들을 숨가쁘게 따라가면서 느낄수가 있었습니다.
이영구라는 친족이 어떤 사연에 의해서 이완용을 암살하려 했는지,
어떤 단서도 없고, 시와 말의 대략적인 줄거리도 없는 상태에서
역사적인 실존인물들과 함께 사건의 실마리를 풀어가는 것이
어떨때는 가슴 한켠이 아파오기도 하고,
어떨때는 사건의 전개 앞에서 흥미진진하기도 합니다.
실제 명동성당 앞에서 발발한 이재명 의사의 이완용 암살 미수사건은
움직일 수 없는 역사적인 사실임에 틀림이없습니다.
지금도 명동성당 앞 도로에는 이재명 의사의 거사터에
조그마한 머릿돌이 하나 놓여있을 뿐입니다.
자세히 보지 않으면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작은 기념석이
그날의 숨막히는 심장의 고동소리를 삼킨 채 지금은 무심하게
잊혀지고 있는 슬픈역사의 장 앞에서 시치미를 떼인 주인 잃은
매가 되어 앉아있을 뿐입니다.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김근옥과 그의 딸 달래가 등장하면서
역동하는 한 시대의 아픔을 리얼리티한 기법으로 살려내고 있습니다.
강원도 산골에서 멧돼지 사냥을 하면서 배운 사격솜씨는
달래가 신여성으로 환골탈태하고 살수로 변신하면서
소설의 기초가 마련됩니다.
명월관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드라마틱한 사건들과
그 안에 숨겨진 모략과 음모의 난장이
독립에 대한 이름없는 백성들의 애절한 바램을
대변해 주고 있었습니다.
고관대작들을 상대하는 기생들의 속삭임은 바로
그림자처럼 움직이는 루트를 통하여 그들의 심장에 칼을 꽂을 수 있는
독립군들의 소중한 정보가 되어왔습니다.
그리고 명월관의 주인 류화와 허건,첼로를 들고 다니는 신여성 달래를
쫓는 순사 김을문의 성공을 향한 집념으로 대변되는
민초들의 상반된 시대적인 아픔의 참상을
그 시절의 흑백사진을 보듯이 치열하게 보여줍니다.
나라잃은 백성들의 살고자하는 본능적인 행동들이
나라를 팔아먹고 일본의 작위를 훈장처럼 주렁주렁 달고다니는
고관대작들의 망령인양 유령처럼 종로와 북촌과 남촌을 떠돌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이완용 이라는 한 인물을 조명하는 것이 아닌
구한말 치열했었던 민초들의 삶의 단면들을 구석구석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해임시정부 요인 김창숙과 색동회를 조직한 소파 방정환, 전 동아일보 사장
춘원 이광수그리고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테러를 감행한 나석주 의사를 등장시키면서
시기적절하게 가공의 인물들과 이념을 논하기도 하고,
사흘낮 사흘밤을 술독에 빠지게도 하는 허구와 실체의 어색하지 않은
접촉을 주선하기도 합니다.
상해임시정부와 노선을 달리하는 사회주의 독립군들의 활약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는 것은 어쩌면 해방 이후 다시 분단되는 조국에 대한
암시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마지막에 테이블에 모여 이념과 갈등을 넘어서 하나의 목표를 향하여
하나된 모습을 보여주는 장면은 과히 이 소설의 백미가 아닐 수 없습니다.
예수를 박해했던 사도 바울처럼
조선인 순사 박을문의 독립군으로의 전향은
역사의 잘못을 반성하지 못하는 이웃나라에 대한 비유적인 질책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완용으로 대표되는 매국노들에 대한 끝없는 암살기도는
이제는 죽은자들의 몫이 되었지만,
살아있는 자들의 몫 또한 결코 가벼운 무게는 아니라는 것을
상기시켜 주고 있습니다.
Oztoto's Cook n Book
http://blog.naver.com/oneyefishlu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