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달팽이 노먼 춤추는 카멜레온 25
수 헨드라 글.그림, 초록색연필 옮김 / 키즈엠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도넛 모양처럼 생긴 집을 가지고

환하게 웃고 있는 달팽이 그림으로 시작되는

[민달팽이 노먼]

내용이 어떻게 될지 궁금해 하면서

즐겁게 보게 되는 책입니다.

노먼은 껍데기가 없는 민달팽이 인데요

알록달록한 껍질을 가진 다른 달팽이들이 부럽기만 하네요.

친구가 될려고 다가 가지만

다른 달팽이들은 노먼이 껍데기가 없다고 상대를

안 해줍니다.

실망한 노먼은 달빛이 비치는 호수를 보다가

자기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 껍데기를 찾기로 결심을 합니다.

테니스공은 툭 하면 튀어 오르고,

시계는 째깍째깍 하는 소리가 시끄럽기만 하네요.

사과는 어느새 그 속에 애벌레가 들어가 있고요,

한참이나 찾아 헤메던 노먼은 마침내 수풀속에서

도넛을 발견하고

기쁘게 자신의 껍데기로 합니다.

다른 달팽이들도 어느새 노먼의 우스꽝스러운 껍데기를 좋아하게 되고

친구가 되어 사이좋게 놀게 되네요.

그러던 어느날

하늘에서 큰 새가 달팽이를 잡아먹으러 오다가

우스꽝스러워 보이는 껍데기가 맛있게 보였는지

노먼을 잡아 하늘로 날아가네요.

노먼은 침착하게 점액을 많이 만들어내게 되고

껍데기에 묶은 줄이 풀리면서

땅으로 떨어져 살게 됩니다.

그날 이후 다른 달팽이들에게 하늘을 난 이야기를

즐겁게 하게 되네요.

아이들이랑 산보를 하다보면 한번씩 달팽이를 보게 되는데

달팽이라고 하면 왠지 느려보이고

꼭 껍데기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노먼처럼 다른 친구들과는 조금 다르지만

스스로 위축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즐겁게 어울릴수 있는

마음가짐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한편으로는 나와는 조금 다르다고

따돌릴 것이 아니라

나와는 다름을 인정하고

같이 좋은 친구가 될려고 하는 마음 씀씀이도 배워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토리텔링 창의 수학 똑똑 1학년 7권 : 규칙성 - 규칙 찾기 스토리텔링 창의 수학 똑똑 1학년 7
신사고스토리텔링창의수학연구회 지음 / 좋은책어린이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나 반갑게 보게 되는 [창의 수학 똑똑] 인데

이번 7권에서는 규칙 찾기에 관해서

즐거운 동화와 함께 재미있게 공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주인공인 샤롯은 고고학을 연구하는 갈레 박사님의 일등 조수인데

이집트로 여행을 떠 나네요.

샤롯과 박사님은 투탕카멘의 무덤을 찾으러 다니는데

죽은 왕과 함께 묻힌 엄청난 보물을 찾으러 갑니다.

박사님이 보시던 지도를 보게 된 샤롯은 야자나무, 스핑크스 가

순서대로 반복되는 규칙을 발견하게 되고

네모, 세모 가 반복되는 규칙도 알게 됩니다.

규칙을 이해하게 된 샤롯과 박사님은 마침내 문을 찾게 되고

체스 말을 검정색 말과 흰색 말을 일정한 규칙대로 놓기도 하고

바닥 무늬를 보다가 세모 모양을 밟으며 나가기도 하네요.

결국 금괴가 가득한 방을 찾게 되지만

방이 무너지게 되는데

간신히 맨몸으로 나오게 되지만

샤롯은 돌멩이 아니 사파이어 하나를 가져 나오네요.

주인공인 샤롯과 갈레 박사님의 이집트 피라미드 여행을 같이 하면서

여러가지 주어지는 규칙들을 하나하나 풀어가면서

규칙이 가지는 성질 규칙성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됩니다.

즐거운 동화 내용과 더불어 기적 놀이터, 창의 놀이터에서

한번 더 주어진 문제들을 공부하게 되네요.

자칫 어렵게 생각되고 계산만 하게 되는 과목이 수학인데

실생활과 연계해서 즐거운 동화를 보면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즐겁게 수학을 공부하게 되는 [ 창의 수학 똑똑]

다음 호도 벌써부터 많이 기대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토리텔링 창의 수학 똑똑 1학년 6권 : 측정 - 비교하기.시계 보기 스토리텔링 창의 수학 똑똑 1학년 6
신사고스토리텔링창의수학연구회 지음 / 좋은책어린이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교과 과정에 따른

수학을 창의적으로 공부하자는

[창의수학 똑똑] 이번 6권은 측정에 관한 내용입니다.

주인공인 꼬마 인디언들이 여우 사냥을 가게 되는데

나뭇가지 높이 쌓기, 키 순서대로 나란히 서기 등을 하면서

두, 세 가지의 대상의 길이를 비교 하기도 하고

높이를 비교 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만듭니다.

사람의 키를 비교 하기도 하고

무게를 비교 할 수도 있습니다.

여우를 기다리면서 꼬마 인디언들이

담겨진 들이를 비교 하기도 하고

대상의 넓이를 자연스럽게 비교할 수도 있게 됩니다.

안 나타나는 여우를 기다리다가 시계를 보게 되고

시계의 구조와 시각을 어떻게 읽는지도

배우게 됩니다.

몇 시 뿐만 아니라 몇 시 30분의 시각 보는 것도

이해하게 되네요.

오늘 하루 열심히 여우 사냥을 위해서

찾아다니고 나뭇잎으로 옷 을 해 입고

숨어 기다렸지만

 결국 여우는 나타나지 않고 잠 잘 시간이 다 되어 가서

꼬마 인디언들이 집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여러가지 비교 하기, 시계 보기를 즐거운 동화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익히게 만들고

기적 놀이터, 창의 놀이터에서 즐겁게 수학 공부를 하게 만듭니다.

한편으로 딱딱하고 계산만 하게 되는

수학 과목일수도 있는데

아이의 흥미를 유발하여

실생활에 응용하면서 즐겁게 공부하게 되는

[창의 수학 똑똑] 인데

다음 7권에서는 어떤 내용들이 나올지 많이 기대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토리텔링 창의 수학 똑똑 1학년 4권 : 연산C 스토리텔링 창의 수학 똑똑 1학년 4
신사고스토리텔링창의수학연구회 지음 / 좋은책어린이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3년 올해 초등학교 1학년 과정이 완전히

바뀌었는데

그 중에서도 수학은 실생활을 응용한

창의수학으로 변경되었네요.

[스토리텔링 창의수학 1학년 4권] 은

수 가르기와 수 모으기를 재미있는 이야기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깨치게 만들고 있습니다.

갑자기 나타나서 사람들을 불쑥 놀래주는 불쑥 도개삐

우억이는 할머니를 놀래 줄려다 실패하는데

은전 대신에 배추를 받아오네요.

이번에는 크윽이가 나서는데 할머니에게

은전 개수만큼 밤을 받게 되네요.

엄청이는 할머니에게서 대추를 10개씩 정렬하는 것을

배우게 되고요.

우억이. 크윽이. 엄청이가 같이 가서는

합이 10이 넘는 세 수를 더하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할머니가 사과를 담을 때 나타난 우억이. 크윽이는

몇 더하기 몇 이 십몇이 되는 것을 쉽게 이해하게 됩니다.

무를 통해서도 한번 더 연습을 하게 만드네요.

우억이. 우짜니.엄청이는 손가락, 발가락 덧셈을 하다가

할머니에게서 덧셈표를 배우게 되고

그것을 응용해 뺄셈도 배우게 되네요.

십 몇 빼기 몇 이 몇 이 되는 것도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되고요.

뺄셈표까지도 알게 됩니다.

수학이라면 어렵고 계산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데

창이수학 똑똑 에서는 재미있는 동화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수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을 통해서

수학이 왜 필요한지. 어떻게 이해하고 계산을 해야하는지를

쉽고 자세히 알게 만드네요.

초등학생이 되고 처음 만나는 수학인데

재미있게, 실생활에 응용해서 알게 된다면

훨씬 흥미를 가지게 될 것 같고

수학 공부가 즐거워 질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혜곡 최순우 -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의 아름다움을 전한 샘터 솔방울 인물 11
이혜숙 지음, 이용규 그림 / 샘터사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라는 책에서

가장 먼저 떠 오르는 내용이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인데

그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의 아름다움을

가장 먼저 대중에게 알린

영원한 박물관인 최순우에 관한 내용이네요.

일제 치하 개성에서 태어나 문학을 꿈꾸던 소년이었는데

우연히 접하게 된 고유섭 선생님을 통해

우리 문화, 유적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한평생 박물관 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해방후 간송 전형필 선생에게서도 배움을 받게 되는데

한국 전쟁중에는 우리의 뛰어난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게 됩니다.

영주 부석사 지붕 누수를 점검하러 갔다가 보게 된

느낌을 적은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라는 글을

발표하게 되네요.

미국을 비롯한 유럽. 일본에서의 우리 문화재 순회 전시회도

멋지게 치르냅니다.

강진에서 청자터와 가마터를 발견하여

강진이 청자로 유명하게 되네요.

한 평생 오로지 박물관을 지키며

우리 문화재를 찾아내고 보존하고 지킬려고 애쓰는

모습에서 절로 존경스런 마음이 드네요.

반만년 역사를 가진 문화 민족이라고 하는데

우리 문화재의 진면목을 발견하고 지켜온

혜곡 최순우 선생 같은 분들의

열정, 노력이 있어서

오늘날 우리들이 뛰어난 선조들의 문화재를 보고

느낄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어느새 우리 역사, 문화재에 관심이 생기는데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우리 역사에 대해서, 뛰어난 우리 문화에 대해서

알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