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레드릭 베크만의 전작들을 읽어본 사람들이라면 이번에는 어떤 캐릭터들이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들어 갈까 기대를 하게 된다. 개성강하고 때론 까칠하지만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와 감동까지 주는 이야기꾼 프레드릭 베크만의 이번 작품은 그래서 조금 의외였다. 아니 반전이라고 해야할까. '동화'같다는 말이 딱 어울리는 작품이었다. 소설은 점점 기억을 잃어가는 할아버지와 그런 할아버지 곁에서 하루하루 이별을 준비하는 손자 노아의 이야기이다. 소설은 판타지적 신비로움과 환상, 동화 같은 아름다운 필체가 기억과 망각이라는 슬픈 감정들과 어우러져 한편의 감동적이고 아름다운 스토리가 이어진다.  



부고를 들은건 고3 때 한창 야간 자율학습을 할 때였다. 조부모 중에 유일하게 내가 태어난 후에도 살아계셨던 할머니는 마지막에 약간의 치매를 앓으시다가 노환으로 돌아가셨다. 소설을 읽으면서 그때의 일이 떠올랐다. 갑작스러운 소식이었고 이별을 준비할 시간같은 것도 없었다. 그래도 손자들은 잊지 않으셨던 것 같다. 할아버지가 마지막까지 놓고 싶지 않았던 노아의 손처럼. 점점 작어지는 기억의 광장에는 마지막까지 잊고 싶지 않은 것들이 가득하다. 먼저 떠난 사랑하는 부인과의 첫만남의 순간, 아들 테드와의 기억, 손자와 주고 받은 아무 쓸모없는 선물들.. 하지만 기억의 광장은 점점 작아지고 아무리 뒤져도 나오지 않는 주머니속 처럼, 읽고 싶어도 읽지 못하고 없어진 가장 중요한 인생의 한 페이지처럼. 망각이란 무서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할아버지처럼 마지막까지 잊고 싶지 않은 것들은 의지대로 잊지 않을 수 있을까? 각자의 기억의 광장은 어떻게 될지 아무도 알 수 없을 것 같다.

문득 이별이란걸 하루하루 연습하면 정작 이별의 순간에는 그 슬픔이 작아질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아직까지 큰 이별을 겪어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어쩐지 그럴것 같지는 않았다. 나에게 전해진 갑작스러운 이별에서는 슬픔보다는 놀라움과 어떨떨함이 먼저였다. 노아처럼 만약 이별이 분명히 다가옴을 하루하루 느낀다면 오히려 슬픔은 더 커지지 않을까. 그리고 하루하루 다가오는 이별에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도 모르겠지만  곁에서 하루하루 슬퍼하기 노아처럼 보다는 아직 잊지 않은 기억들에 대해서 이야기하며 하루하루를 보내는 것이 서로에게 좋을 것 같았다. 소설은 분명 할아버지와 손자의 이별을 이야기하지만 현실과 환상의 모호한 경계에서의 동화같은 필체와 아름답도 감성적인 일러스트가 그 슬픔마저 망각속으로 가져가는 듯 해서 읽은 내내 슬픔보다는 조용한 미소가 떠오르는 소설이었다.

 

 

여우야 도서 체험단 이벤트에 당첨되어 무료로 제품을 제공받아 후기를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