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녀에 대하여
아리요시 사와코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스터리한 한 여자의 미스터리한 죽음을 더욱 미스터리한 결말로 끝낸 미스터리한 미스터리 소설. 문제, 여기서 미스터리가 몇번 들어갔을까? 내가 미스터리 소설을 읽으면서 이렇게 내내 미스터리한 기분으로 읽고 끝내 미스터리하게 결말이 난 소설은 처음이었던 것 같다. 한 여자가 죽었고 난 늘 그렇듯 범인이 누구인가를 알아내기 위한 퍼즐 조각을 맞출 준비가 되어있었다. 내가 미스터리 소설을 읽는 마음이란 늘 이랬다. 이 소설을 읽을 때에는 그런 마음가짐이 소용없어 졌다.

소설은 일명 '사업의 여왕'으로 유명한 여류 사업가 도미노코지 기요코가 자신의 빌딩 7층 사무실에서 붉은 이브닝 드레스를 입은 체 추락사한 사건이 일어나고, 그녀와 관련된 주변 인물 27명의 인터뷰 형식으로 그녀의 삶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한다. 소설은 불친절 하게도 사건에 대한 개요나 심지어 화자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지 않는다. 그저 27명이 하는 이야기에서 이 모든것을 독자가 맞추어야 한다. 죽음이 등장하는 미스터리 소설은 당연히 그 죽음이 메인 스토리가 되겠지만 소설을 읽기 시작할 때 한 이런 생각과는 달리 여기서는 도미노코지 기요코라는 여자의 죽음이나 그것을 해결하는게 중심은 아니었다. 그녀의 탄생부터 죽음 까지가 철저하게 타인의 입을 통해서 전해지는데 뒤로 갈수록 그녀의 삶에 대한 것이라던가 죽음에 관한 진실이 선명해지는게 아니라 오히려 불분명하고 혼란스러워졌다. 그것은 소설의 마지막 마침표를 찍을 때 까지도 이어진다. 제목에서 보여지듯이 그녀가 악녀라서 죽은 것인가에 대해서도 모호하다. 그녀가 죽은 후 여러 매체에서 그녀의 과거가 파헤쳐지고 악녀라는 식의 보도가 난무하는데 오히려 그것이 거짓이며 오해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이 등장한다. 적어도 소설에서 그녀의 삶 이라던가 죽음에 관한 진짜 '진실'은 사람들의 인터뷰 안에서는 알 수 없다. 만약 그녀가 직접 인터뷰를 했다해도 그것은 알 수 없을 거라 생각한다. 단지 그녀가 거짓말을 잘해서도 있지만 그녀 자신까지도 철저하게 속여가며 살아간 이유도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그녀의 삶이나 죽음에 관한 진실이 중요한게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들과 평가, 그것을 마치 진실인양 이야기하는 것에 대해 소설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누군가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물어볼때가 있다. '그 사람 객관적으로 어때?'라고. 전에는 이 질문이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아주 큰 오류가 있다는걸 소설을 읽으며 깨달았다. 사람의 입을 통해서 누군가에 대해 이야기 할때 그 '객관적'이라는 견해는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단지 그 사람의 키 라던지 성적같이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 사실이 아니고서야 사람에 대한 평가는 말하는 사람의 주관이 들어갈 수 밖에 없다. 대외적인 평판이라는 것도 있지만 그것이 진실일 수는 없는 것이다. 그녀가 한 거짓말이 진실이 되어 받아들여질때도 있고 진실이 거짓된 말들로 인해 거짓으로 받아들여져 그녀를 악녀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누군가에 대해 말할때 그것이 마치 진실인 것처럼 이야기 하는 것, 더 나아가 그런 말들을 진실처럼 듣는 것 등 소설은 이제까지 사소하게 지나칠 수 있는 이런 오류들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했다.

도미노코지 기요코의 죽음이 자살인지 타살인지도, 원인이 무엇인지도, 심지어 그녀의 진짜 삶이 무엇인지도 알 수 없다면 미스터리 소설로 재미가 없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소설의 흡입력이랄지 작가가 던저주는 퍼즐을 맞추는 미스터리 소설만의 쾌감같은게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 적어도 단순한 내 기준에서는 재미있는 소설이었고 충분히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은 소설이다. 다 읽고나서 작가에 대해 알게됬는데 소설의 배경과 비슷한 시기에 태어나 아주 오래전에 등단했고 이미 1987년에 발표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요즘 나오는 미스터리 소설과 비교해 결코 뒤처지지 않은다는게 놀라웠다. 당시에도 작가는 그 시기에 나오는 작품들과 달리 앞서가는 글을 썼던 작가였다고 하는데 그런 점들이 지금까지 사랑받는 소설이 될 수 있었던 이유가 아닐까 생각한다. 전 후 일본의 혼란기라는 시대적 배경이나 인터뷰 형식의 전개, 갈수록 불분명한 진실의 결말 등 여러가지로 신선한 소설이었지만 무엇보다 미스터리 소설이라면 있어야할 흡입력과 흥미진진함까지 갖춘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