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현대문학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 날짜로 우리 시각 저녁 8시에 노벨 문학상의 수상자가 발표된다. 4명의 유력한 후보로 압축된 가운데  무라카미 하루키도 그 가운데 있었다. 마침 하루키의 책을 읽고 있어서인지 몰라도 그의 수상을 조금 바라고 있기도 한데 책을 읽고 나니 그 마음이 더 강해졌다고 해야할까. 소설로만 접해 왔던 하루키였는데 처음 소설이 아닌 에세이로 만나봤다. 근데 자전적 에세이가 아니라 왜 강연 에세이라고 타이틀을 달았을까. 그건 책을 읽는 내내 재미있는 강연을 듣는 듯한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작가 후기에 에세이를 쓸 때 많은 사람들 앞에서 강연을 한다는 생각으로 썼다고 한다. 그 스스로도 이 에세이를 강연록이라고도 하기도 했다. 여담이지만 학교때 이런 교수님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책은 작가가 처음 소설을 쓸때와 직업 소설가로써 살아온 자전적 이야기는 물론 자신이 어떻게 글을 쓰는지도 이야기한다. 처음에는 조금 지루한 기술서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그렇다면 적어도 내가 읽어 본 기술서 중 유일하게 재미있게 읽은 기술서라고 말하고 싶다. 또한 그런 의미로 글을 쓰고 싶은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지 어떨지 모르겠다고 했는데 내 생각엔 적어도 아주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글을 쓰는데 정말 테크닉적인 부분도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나 멘토의 이런 이야기들은 그런 기술적인 부분보다 더 중요하고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다. 작가는 소설은 누구나 쓸 수 있지만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는 글을 쓰기란 무척 어렵다고 했다. 그 역시 초기 신인일 때에는 일본이서 혹평과 냉담한 대우를 많이 받았다고 해서 놀라웠고 그래서 떠나게 된 외국에서의 어려움도 있었다고 했다. 작가로서의 타고난 재능도 물론 조금 있었겠고 좋은 사람들도 많이 만나 지금까지 직업 소설가로 성공할 수 있었다고 하지만 적어도 내가 보기에 그는 성공한 작가로서 젠체하지 않고 무었이든 포용하는 마음과 자신만의 필력과 필체가 있지만 독자들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끊임없이 스토리와 문장을 연구하는 자세가 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비소설이나 기술서를 읽지 않는 나같은 사람도 사람들에게 강연한다는 마음으로 재미있게 기술서나 강연록을 쓰는 것을 보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노벨 문학상에서는 무라카미 하루키는 대중성이 강점이라고 했다. 물론 지금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작가이지만 그의 소설 중에도 나에게는 한번 읽어서는 이해가 잘 안가거나 재미면에서는 조금 떨어지는 소설도 있었다. 하루키는 독자들 중에 그 작가를 신뢰하고 한번쯤 재미없는 소설을 읽더라도 다음 신작을 기다려 주거나 소설을 적어도 2번 이상 읽어주는 독자가 가장 고맙다고 했는데 나에게는 무라카미 하루키가 그런 작가중에 한명이다. 그런 면에서는 오히려 내가 더 고맙다고 해야할 것 같다. 그런 작가는 나에게 많지 않고 적어도 2번 이상 읽고 싶은 책이 아니고서야 책을 잘 사지 않는 나의 서고 컬렉션을 풍부하게 해주었으니까. 강연록이 되었든 기술서가 되었든 작가의 자전적인 에세이가 되었든 그건 읽는 사람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달렸다. 하지만 나에게는 그 모든것이 무라카미 하루키라는 작가에 대한 신뢰감과 애정이 생긴 에세이이다. 그는 나에게 오리지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