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오미와 가나코
오쿠다 히데오 지음, 김해용 옮김 / 예담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그렇다. 나도 떠올렸다. 결말이 가까워질수록 이 이야기 영화 <델마와 루이스>를 많이 닮았다는거. 마지막에 해설자도, 출판사 서평에도 언급되어 있으니 소설을 읽어본다면 누구나 떠올리지 싶다. 설정은 약간 다르지만 범죄를 저지르고 도망친다는 두 여자의 이야기라는 점은 꼭 닮아있다. 두 이야기 모두 뭔가 굉장히 미스터리한 스토리는 아니다. 오히려 그녀들의 범죄는 허술하기도 하고 우발적이며, 범죄계획에 필요한 요건들이 어떻게 이렇게 딱 맞춰서 나타나는지도 조금은 웃기기도 했다. 하지만 이 두 이야기는 범죄 자체 보다는 그녀들이 살아가는 주변 환경과 사회의 부당함과 부조리에 맞서는 여자들의 이야기이자 범죄를 저질렀지만 어쩐지 그녀들을 응원할 수 밖에 없는 기묘한 심리와 저항에 따르는 카타르시스를 주는 이야기라는 점에 초첨을 맞춰야 할 것이다.

 소설은 나오미 이야기와 가나코 이야기로 나뉜다. 친구인 가나코가 남편의 폭력으로 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해 남편을 제거할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기기 까지가 나오미 이야기. 남편을 제거한 후 잡힐까 전전긍긍 하고, 주변의 의심으로부터 점점 좁혀오는 포위망에서 도망치기 까지가 가나코 이야기이다. 소설에서 나는 세번의 고조되는 서스펜스를 느꼈다. 처음에 나오미의 시점에서 별다를 것 없는 그녀의 생활이 이어져서 뭔가 띠지에 쓰여있는 서스펜스는 낚인 게 아닐까 생각했다. 하지만 어느 순간 나오미의 생활에서의 이야기나 등장인물은 제거 계획에 재료가 되고 가나코를 동정하면서 오히려 그녀들의 계획이 성공하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서스펜스는 크게 고조된다. 두번째는 계획을 실행하고 그녀들의 범죄가 발각될까 하는 조미조마함의 서스펜스, 마지막으로 범죄가 거의 발각되고 도주하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두근거림의 서스펜스다. 이렇듯 허술한 범죄계획과 도주에도 끝까지 놓치지 않는 서스펜스는 그녀들의 심리상태를 섬세하게 묘사함으로써 독자에게도 그녀들이 느끼는 심리가 그대로 전달되어서가 아닐까 생각된다.

 소설에는 두 사람 이외에도 등장하는 여자들에게서도 두 사람과 같은 동질감이 느껴지는 인물들이 나오는데 먼저 폭력의 당사자는 아니지만 어릴적 아버지의 어머니에 대한 폭력을 보고 자란 친구 나오미부터 이혼하고 혼자 타국에서 살아가는 여사장 리아케미와 남편의 외도와 돈문제로 괴로워했던 치매 걸린 독거노인 사이토씨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과거에 비추어 가나코를 동정하게 되고 알게 모르게 가나코의 조력자가 되어준다. 가나코가 이혼이 아닌 남편 제거라는 극단적 방법을 택한 것은 이혼후에도 자신을 괴롭힐 남편의 굴레에서는 벗어날 수 없을 거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정은 그녀들의 주변이나 사회적 장치가 그녀에게는 보호막이 되어주지 못한다는 것을 꼬집는게 아닐까. 그런 마음이 내가 여자라서라거나 어쩌면 여성 독자들만이 느낄 수도 있다. 살인이 정당하다는 것도 절대 아니고 당연히 처벌 받아야 할 범죄이지만 반대로 보호막이 되어주지 못하는 주위의 환경이 그녀들을 그렇게 몰고 간것 또한 생각해봐야할 문제라는 것을 느낀 소설이었다.

소설속에서 유머러스함과 스토리로 절묘하게 사회를 꼬집는 이야기는 오쿠다 히데오 만의 이야기에서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이다. 스토리 자체에서는 500페이지에 달하는 양을 차지할만한 이야기도 아니고 유머러스함 또한 이번 작품에서 느낄 수 없었지만 모자라는 재료로도 많은 생각할거리와 지루할틈 없는 서스펜스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절묘하게 멋진 작품을 만들어 냈다는게 이번 작품에서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