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 1 - 관상의 神 역학 시리즈
백금남 지음 / 도서출판 책방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관상」은 관상학이라는 독특한 소재로 김내경이라는 관상가를 주인공으로 역사적 사건인 계유정난과 관상학을 접목시킨 역사 팩션이다. 사실 소설보다는 영화로 알게되었는데 영화적 관심보다는 개인적으로 관상학에 대한 호기심으로 읽게 되었다. 총 2편으로 구성된 소설의 1편에서는 주인공 관상가 김내경의 탄생부터 시작된다. 내경의 아버지 관상가 김지겸은 김종서의 살인증거를 갖고 있다가 김종서에 의해 죽임을 당하고 내경은 도망길에 오르게 된다. 생전에 아버지가 일러준대로 이상학이라는 관상쟁이를 찾아가고 스승으로 삼는다. 이상학 밑에서 관상학에 관해서 배우면서 점차 비범한 관상가가 되어 가고 훗날 김종서에 대한 복수를 다짐하게 된다.

1편에서는 내경이 관상에 대해서 배우기 때문에 관상학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이 나온다. 기대하지 않았는데 예상외로 관상에 대한 내용에 빠져들게 됬다. 소설을 읽으면서 어느덧 거울을 보게 되는 자신을 발견하기도 했다. 평소 관상에 대해 조금 관심이 있었다면 무척 흥미로운 소설이 될 것이고 관상에 관심이 없던 사람이라도 흥미가 생겨날 것 같다. 읽기 전부터 궁금했던 점은 그옛날의 관상학과 지금 내가 풍문으로나마 알고 있는 관상에 대한 얕은 지식과의 차이였는데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았다. 관상에 관한 깊이 있는 묘사와 작가의 심미안에 감탄하게 되었고 오히려 관상에 관해서 흥미를 유발시키기에 충분했다.

2편에서는 내경이 본격적으로 관상쟁이로 세상에 나오면서 일어나는 일들로 채워진다. 김종서와 수양대군의 권력다툼이라는 역사적인 소용돌이속에 내경이 들어가 자신의 운명을 건다는 내용이다. 흥미로운 것은 역사를 바꿀만한 사건들이 한낯 관상재이에 의해 변하고 관상가의 시선으로 그려진다는 것이다.

 
"자고로 사람은 마음을 잘 써야 한다는 걸. 그 스님이 왜 아이의 상이 장수상으로 변했을까 하고 알아보았더니 그아이가 그러더라는 것이야. 집으로 가는 날, 개울을 건너려는데 간밤의 비로 물살이 불어 있더라는 거야. 물이 자꾸 개울에서 넘치는데, 한곳을 보니 개미 무리들이 새까맣게 이사를 하고 있더래. 물살이 들이치고 있어 자기도 모르게 윗옷을 벗어 개미들 가는 길에 놓고 중위를 벗어 일단 물살을 막았다고 해. 개미들이 옷 위로 가득 올라오면 옮기고 또 옮기로 그렇게 모든 개미를 구해주었다는 것이야. 그때 나는 무릎을 쳤지. 바로 이것이로구나." -p82

관상을 얼마나 믿는가? 스스로의 물음에 나는 좋은 말은 믿고 나쁜말은 흘려듣는, 약간의 기분을 좌우하는 정도인데 관상쟁이들도 심성을 곱게 쓰면 관상에 따른 인생이 길하게 바뀐다고 하니 조금은 아이러니한 것 같았다. 요즘은 관상성형이라는 말도 있을 정도로 한국인에게는 관상이 친숙한데 관상가도 자신의 관상에 따른 운명을 거스르고 마음먹기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니 어쩌면 관상이라는 것은 마음에 달린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단순한 역사적 사건을 관상이라는 소재와 버무려 더욱 흥미롭게 그려내어 멋진 시너지의 조화를 이룬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