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꽃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인류 역사에서 변하지 않고 이어져 온 감정이며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 사랑이라는 이름 하나로 읽은 소설 '불의 꽃'이었다.

망국과 개국이 오가던 혼란의 시기에 만난 두 소년 조서로와 소녀 유녹주의 일생을 지나는 사랑이야기이다. 시대적 배경에 맞는 예스러운 필체가 어렵지 않아서 멋스러우면서 편하게 읽혔고 두 주인공의 만남에서 설레임과 함께 앞으로으 이야기가 사뭇 기대되었다.

다만 아쉬운 것이라면 두 주인공이 어쩔 수 없이 헤어져 있어야 했던 시간이 너무 길었고 그런 만큼 어릴때 잠깐의 만남으로 떨어져있는 동안 그토록 평생을 잊지 못할 정도의 그리움이 공감되지 않았다. 만남의 시간이 사랑의 크기와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구니가 된 녹주와 가정을 이루고 관직에 오른 서로 각자의 생활속에서 서로에 대한 그리움을 그린 중간 부분에서는 별다른 만남이나 에피소드가 없어서 지루한감도 있었다. 그러다가 중년의 나이가 되어 재회한 후 통간으로 이루어지 갑작스러운 둘의 관계는 둘의 애틋한 사랑이 퇴색되는 느낌이었다.

실록의 짤막한 기록에서 시작된 소설은 그 시대의 사랑이 어떤 의미와 책임이 주어지는지 알 수 있다. 통간의 죄는 지금에도 허락되지 않지만 유교적 사회통념으로 사랑이라는 감정은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만큼 더 간절한 감정이었으리라. 단지 여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그토록 큰 형벌은 같은 여자로써 안타까움이 느껴졌다. 아쉬운 부분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상황에서의 사랑이 더 애틋하게 느껴지듯이 이들의 사랑은 더 이상 애틋할 수 없을 만큼 소설을 읽는 동안 아름다운 예스런 필체와 어우러진 애틋함과 절절한 느낌이 좋았던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