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페이지에 죽음 하나
다니엘 포르 지음, 박명숙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일단 대단히 솔직하고 직접적인 제목이다. 숨은 뜻 없이 정말 한 페이지에 죽음이 한가지 씩 등장한다. 그것이 주인공의 주변사람이거나 유명인이거나 심지어 동물이나 신, 생각이나 정신세계 등 아주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번역서인 이 책은 '거의' 한 페이지마다 등장한다고 했지만 원작은 정말 한 페이지마다 등장한다고 하니 정말 제목에 충실한 샘이다.

 

유니크하고 크리에이티브한 소설이란 생각이 들었다. 광고를 한 사람이 쓴 소설답다고 해야할까 짧은 글에 강하고 참신한 느낌을 주어야 하는 광고의 문구를 만드는 사람의 창의성이 문학작품에 적용된 것인데 참신하고 독특한 구성만은 정말 괜찮았고 문장력이나 문체도 지루함 없이 읽을 수 있을 정도였다.

 

주인공의 캐릭터는 최악이었다. 여자의 입장에서 이 남자의 면면이나 생각들을 알 수 있다면 만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뻑이 무척 심한데다 찌질한 면도 많고 여자와는 말도 안되는 밀당까지 한다. 자신이 무척 쿨한 사람이라는 자만까지 있다. 한마디로 완전 별로였음.

 

주인공은 웃지못할 유머러스한 블랙코미디의 소설이었다. 비록 남자로는 별로라도 이 주인공이 겪는 죽음들의 연속은 실로 기가막히면서 실소가 터져나온다. 행복해지기위해 여자를 사귀고 소설을 쓰고 체력을 단련하는 등의 계획을 세우지만 통화하던 여자가 죽거나 그 여자가 바람핀 남자가 죽거나 심지어 원나잇의 상대였던 여자가 알고보니 성전환한 연쇄살인범이었다는 기가막힌 일이며 체력단련 했더니 지나가던 여자에게 근육질의 남자는 별로라는 얘기를 듣고 소설은 뜻대로 써지지 않는다. 상담을 위해 찾은 정신과 의사는 도움도 되지 않는다. 이러한 주인공의 우여곡절은 완벽하기만한 소설 속 주인공과 대비되는 뜻한 일이 잘 되지 않는 일이 더 많은 보통 사람들에게는 공감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웃기기도 하는 동시에 측은지심이 동하게 만든다.

 

참신하고 독특한 소재와 구성에 비해 마무리가 아쉬웠다. 결국엔 처음에 헤어졌던 여자와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하는 동화같은 허무한 결말은 머리로는 그래 인생 뭐 있어~ 작은 곳에서 만족하고 행복을 느끼면 되는 거지 하는 생각이 들지만 전체적인 소설의 독특한 구성에는 조금은 허무하고 평범한 결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말에 대한 아쉬움은 있었지만 광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쓴 소설답게 참신함과 독특한 유머가 있었던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