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 세이초 월드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김경남 옮김 / 모비딕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미스터리 추리 소설을 정말 좋아한다고 말하면서도 사회파니 본격이니 하는 구분은 사실 짓지 않고 마구잡이로 읽었다. 읽은 미스터리 추리 소설을 뒤적여보니 사회파 추리나 본격 추리나 구분짓지 않고 고루 읽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스터리 추리소설을 고르는 제 1순위가 단순히 '재미'라는 측면이기 때문에 그렇기도 하지만 내가 정말 추리소설을 좋아하긴 하나보다를 알게됐다.

 

마쓰모토 세이초라는 작가는 이번 단편집 '잠복'으로 처음 알게됐다. 이미 고인이 되신 분이며 사회파 추리소설의 거장이라는 수식이 붙은 저명하신 분이었다. 말하자면 추리소설의 고전쯤으로 볼 수 있는 이번 단편 추리 소설집 <잠복>은 꽤나 내 취향에 맞는 추리소설로 처음부터 끝까지 강한 흡인력으로 읽어냈던 책이었다. 한마디로 재미있었다는 이야기! 과연 거장이라는 수식이 아깝지 않았다.

 

잠복에는 제목과 같은 단편 '잠복'을 포함해 '얼굴', '귀축', '투영', '목소리', '지방신문을 구독하는 여자', '일 년 반만 기다려', '카르네아데스의 널'로 총 8편의 단편이 실려있다. 사회파 추리소설이라는 장르답게 사건의 플롯과 함께 인간 내면의 심리묘사와 사회 전반의 묘사가 특징적이며 이 또한 뛰어나다. 특히나 내게 기억에 남았던 단편은 제목과 같은 '잠복'과 '목소리', '카르네아데스의 널'이었다. '목소리'에서는 서로 관련이 있는 두 가지의 살인사건과 처음부터 범인이 누구인지 알려주고 시작하면서 사건이 전개된다. 일반적으로 용의자 몇을 던져놓고 범인이 누구게? 라는 수수께끼를 내놓는 기존 추리소설과는 다르게 범인이 어떻게 사건을 벌였는가 하며 형사들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볼 수 있었던 인간 내면의 잔인성을 묘사한 점이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실린 '카르네아데스의 널'에서는 특히 '사회파'라는 느낌어 강하게 들었다. 사람의 욕망과 사회적 부조리에서 나오는 인간의 잔인성이 그대로 드러났던 작품이었다.

 

8편의 작품 모두 어느 하나 빠짐없이 재미있었다. 요즘은 어떻게 하면 더 잔인하고 자극적일까를 고민하는 것처럼 추리소설들이 쏟아지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재미를 떠나 물리적인 잔인함이 강하고 자극적인 추리소설을 싫어하는 편이다. 그 보다는 정말 내면에서 우러나는 오싹함이랄까. 피 한방울 안나와도 이런 느낌이 나는 추리소설을 좋아하는데 마스모토 세이초의 추리단편 '잠복'이 그런 특징을 갖고 있다. 물론 귀신이니 제이슨 같은 잔인한 살인마도 오싹하지만 알 수 없는 인간의 내면이 진정한 잔인성과 거기서 나오는 오싹함이 진정한 미스터리 추리가 아닌가 생각을 하는 나로써 '잠복'은 그런 점에서 더욱 빠져들 수 있었던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