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그림자를 읽다 - 어느 자살생존자의 고백
질 비알로스키 지음, 김명진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자살. 죽은 자는 더 이상 말이 없고 남겨진 자는 그 마음을 알지 못한 체 지워지지 않는 죄책감과 그리움과 상처가 남는다. 이 책은 시인이자 심리학자인 작가는 21살의 나이로 스스로 삶을 버린 동생의 죽음으로 그 죽음을 막지 못함에 대한 죄책감과 얼마나 사랑했는가에 대한 그리움, 자살에 관한 여러가지에 대한 심리에세이이다. 동생의 자살의 이유가 표면적으로 남자친구가 원인이었지만 죽은 동생이 이유를 말하지 못하는 이상 정확한 이유는 영원히 알지 못할 것이다. 동생을 잃은 죄책감과 그리움에 그 동안 동생과의 생활을 되돌아 보고 동생의 일상에 일어난 일을 되집어 보면서 자살의 원인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문이나 서적, 문학 등을 연구하게 된다. 정확한 원인을 알지 못하는 것과 죽음을 막지 못한 죄책감에 자살로 가족을 잃고 살아가는 자살 생존자들의 심리와 그 자살로 인해 변해버린 자살 파급효과가 얼마나 큰 것인지를 말한다.

 

나 역시도 생각해본 적이 있었고 현재도 주변에서 그 말을 입에 올리는 사람이 있지만 그들이 정말 실행에 옮긴다면 원인은 알지 못할 것 같다. 자살의 원인이라 말할 만한 것이 없음에도 자살하는 이들이 있다는 것도 연구에 의해 밝혀져 있고 겉으로 나는 피부의 상처처럼 보이는 것이 아닌 마음의 문제라서 더더욱 남겨진 자의 상처는 커지는 것 같다. 평소 아무리 죽고 싶은 원인을 이야기 해도 죽는 순간 자살자의 심리는 어떨지 그 사람만이 아는 것이니까. 가족중 자살자가 있다면 뒤 따라 자살을 하는 가족이 생겨나는 확률이 높다고 나오는데 그 만큼 작가의 '자살 생존자'라는 말이 처음에는 이해되지 않았는데 동생의 죽음으로 인해 변해버린 모든 생활을 보면서 그 말이 맞다는 걸 알게 되었다. 어쩌면 동생보다도 더 힘든 일을 많이 겪은 작가 역시 생각해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동생의 죽음으로 인해 전염병 보다 무섭게 번지는 자살의 파급효과를 알기에 더욱 삶의 의지를 붙잡고 있는 건 아닐까.

 

그 동안 자살을 생각하고 우울증을 겪는 사람에 대한 심리서적에 익숙해져 있던 나에게 '자살 생존자'의 심리와 자살에 관해 좀 더 깊이 알게 해주어 많은 생각을 하게 한 에세이였다. 충동적이든 아니든 입 밖으로 내뱉기도 너무나 벅찬 자살이라는 단어를 생각하는 사람이 읽어봄이 어떨까 생각이 든다. 삶의 의지를 나 아닌 가족이나 주변인에게서 찾는 것도 의미 있는 삶이 되지 않을까.

 

작가가 시인의 감성이 있어서 문학적 느낌이 많이 나서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었던 심리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