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 아메리카 JGB 걸작선
제임스 그레이엄 밸러드 지음, 조호근 옮김 / 현대문학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도 그렇지만 과거 한 때에 아메리칸 드림의 붐이 일었던 적이 있다. 가난한 나라를 떠나 '기회의 땅'이라고 불리우는 북아메리카의 나라 미국으로 삶을 터전을 옮겨가 그 중에는 성공한 이들도 있을 것이고 실패한 이들도 있을 것이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원래 이민자들로 이루어진 나라이기 때문에 누구든 받아들이는 기회의 땅으로 여겨졌고, 지금도 많은 이들이 합법이건 불법이건 그 곳으로 가기를 희망한다. 21세기를 들어서 미국은 물론 전 지구적인 문제인 에너지 위기로 기회의 땅은 붕괴되고 100년 후 2114년 새로운 아메리카 드림을 갖고 떠나는 미국 탐사 원정대가 버려진 땅 북아메리카로 출발한다. 소설은 그런 원정대가 미국땅에 도착하면서 부터 시작된다.

 

 

소설은 웨인이라는 남자를 주인공으로 그는 미국 탐사 원정대의 아폴로호에 밀항하여 미국으로 떠난다. 붕괴된 미국의 새로운 대통령이 되리라는 꿈을 안고 떠난 청년 웨인과 저마다 다른 희망을 갖고 미국 탐사길에 오른 탐사 대원들은 두려움과 동시에 호기심으로 미국땅에 첫발을 내딛는데 희망과는 다른 예기치 못한 위기를 맞는다. 근 미래를 그린 많은 S.F. 작품들을 보면 인류가 초래한 붕괴된 지구의 모습은 비슷하다. 에너지 위기와 무분별한 환경 파괴는 이제는 인류의 미래를 약속할 수 없는 기정 사실이 되거 가고 있고 그 속에서 인류는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렇지만 파괴될 지언정 과학 기술은 지금보다 더 진일보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하지만 이 소설 속에서는 그런 모습과는 다르다. 붕괴의 위기가 닥친후 몇백년 전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해온 많은 이민자들의 후손들은 자신들의 조상의 고향으로 다시 돌아가고 버려진 땅이 되어버린 미국에는 100년전 떠나지 않고 남은 미국의 후손들이 원주민이 되어 살아가는데 원정대가 이들과 만나는 모습은 흡사 그 옛날 아메리카 대륙에 처음 발을 들인 탐험가들이 그곳의 원주민들과 만나는 모습을 연상시켰다. 그들은 각자 다른 부족생활을 하고 있었고 쉼없이 석탄을 넣어야만 움직이는 자동차를 타고 다녔다. 그런 모습은 인간의 문명이 오히려 퇴화한 듯한 모습이었다. 원정대가 처음 뉴욕에 도착에 황금으로 보였던 모래 사막과 그에 따른 원시화된 환경이 인간을 그렇게 만들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쨌든 인간도 환경에 적응하는 동물이니까. 이 점이 미래를 그린 S.F. 작품들과는 다른 뭔가 색다른 느낌을 받았다.

 

 

웨인을 비롯한 미국 대륙을 횡단하려는 탐사대들은 떨어져가는 식량과 물에 점점 지치고 이성을 잃어간다. 원정대의 탐사가 끝났다고 생각한 순간 미국의 원주민을 만나 가까스로 살아나고 그들은 다시 떠나는데 폐허라고 생각했던 라스베거스에서 예상하지 못한 옛 모습의 라스베가스를 만나게 된다. 그곳에서 웨인은 자칭 미국 45대 대통령이라고 하는 찰스 맨슨이라는 중년의 남자를 만나는데 10대로 이루어진 멕시코 소년 소녀들로 구성된 군대를 가진 기묘한 느낌의 남자이다. 원정대를 버리고 스스로 떠난 스타이너 선장과 죽은 두 명의 원정대원을 제외하고 아폴로호의 엔지니어인 맥네어와 핵 물리학자 앤 서머스를 맨슨이라는 남자는 아주 극진히 환영한다. 그 곳에서 웨인은 자신의 힘드로 작으나마 새로운 미국을 회생시켜가는 맨슨을 보고 또 다른 희망을 갖게되는데 이 찰스 맨슨이라는 자칭 미국 대통령은 겉과 다르게 또 다른 음모를 갖고 있는 남자다. 전염병이 돈다는 이유로 도시를 파괴하고 기괴한 영상으로 웨인 일행을 라스베거스로 유인한 한편 웨인을 비롯한 원정 대원들을 자신을 도와 미국을 재건하기 위해 끌어들이려 한다. 뭣모르고 배웠던 그 옛날의 콜럼버스는 지금 생각해보면 탐험가이자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자라기 보다는 '침략자'에 가깝다. 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처음 발을 들이고 그 곳에 사는 진정한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만났을 때 그들은 악의 없이 그들을 환대했다. 하지만 그 침략자들은 그들의 탐욕으로 인해 원주민들을 학살하고 온갖 전염병을 퍼뜨리며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했다. 순수하던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과 달리 찰스 맨슨은 그 침략자들을 단순한 침략자들이 아닌 하나의 '질병'으로 보고 제거하려 한다. 종내에는 자신이 건설한 작은 왕국 라스베거스도 자신과 함께 날려버리려 한다. 분명 찰스 맨슨은 정신이상자에 미치광이 소시오패스다. 하지만 탐사라는 이름하에 미국땅으로 향하는 탐사 원정대 역시 침략자임에 분명한게 아닐까. 웨인을 비롯한 원정 대원들 모두 저마다 순수한 미국 탐사가 아닌 각자의 탐욕으로 미국길에 오른것은 분명하니까. 작가는 붕괴를 예견할 수 있는 현대의 많은 문제들에 대해 S.F.라는 장르를 통해 문학적으로 표현하고 경고하는 메세지가 담겨있는 듯 하다.

 

 

1981년에 나온 작품이라고 믿기 힘든 만큼 작품은 지금 나오는 S.F. 작품들이 그려내는 미래의 디스토피아적 느낌과 아주 비슷해서 처음 작품이 나온 시기를 보고 놀라웠다. 어딘지 환상과 몽환적인 분위기의 색다른 미래를 그린 '밸러드풍'의 소설은 작가가 던저주는 묵직한 메시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음과 동시에 작품을 읽는 내내 생생하게 머리속에서 영상화 되어 마지막까지 몰입감을 놓지 않게 해준 매력적인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