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령 ㅣ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7
정용준 지음 / 현대문학 / 2018년 10월
평점 :
한 남자가 12명을 살해했다. 그것만으로도 세상을 떠들썩하게 하기에 충분하지만 죽은 이들은 정부의 고위직들이었고 그는 그들을 죽인 후 저항도 도망도 없이 깔끔하게 체포되었다. 사형을 언도받고 교도소에 사형수로 수감된 후에도 조용히 지내지만 그는 그 일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분명 이 이야기를 뉴스에서 접했다면 그는 분명 극악무도한 악마라고 생각했을게 틀림없다. 하지만 소설은 이미 그에 대한 이러한 판단을 내려지게 한 후 이야기가 시작된다. 의심할 여지없이 악인임을 드러낸 수감번호 474 신해준과 그의 담당 교도관 윤, 그리고 신해준이 이렇게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그의 누나 신해경 세 사람을 중심으로 이야기는 흘러간다. 담당 교도관 윤은 474 신해준에게 호기심을 느끼고 궁금해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그러는것처럼 그에게 묻지 않는다. 철저히 무관심 한듯 대하지만 그로 인해 그가 스스로 털어놓기를 기다린다. 그런 474도 윤에게만은 다른 사람과 다름을 느끼고 호기심을 가진다. 법적 판단으로도 겉으로 드러난 팩트만으로도 그는 분명 악인이며 악마이다. 그 시작점과 소설을 다 읽은 그 종점 사이에는 474의 이야기가 있지만 여전히 그가 악인이 될 수 밖에 없었던 것에 대한 정당성이나 악인이 아니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다만 작가가 474 신해준과 그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을 통해 악과 악인에 대해 이야기 함으로서 각자에게 그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한다.
인간은 그럴 권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뭘? 어떤 사람이 악인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을 하는 것 말이다. 다만 그럴 자유는 있다. 12명을 죽인 474는 분명 누구에게든 악인이지만 물리적이로 사람을 죽인게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악인은 많은게 이 세상이다. 소설을 읽고 생각난 단어는 '악의'다. 우리는 누구에게든 악인이 될 수 있지만 그럴 때면 '악의는 없었다' 라는 간단한 말로 죄책감을 덜어낸다. 조금 어릴 때에는 그 말이 해도 되는 것인줄 알았다. 하지만 그 말에는 나로 인해 상처받은 누군가에게 니가 어떤 상처를 받았든 난 악의가 없었으니 상처받지 말라는 말라는 뜻이 담겨있다. 하지만 반대로 상처받은 사람은 상대방이 악의가 있든 없든 이미 상처를 받고 난 후이다. 그 상처는 누군가를 죽음으로 몰아갈 수 있다는 생각은 하지 못하는 것일까.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누군가에게 악인일 것이며 그래서 선과 악에 대한 분명한 판단을 할 권리는 없다는 것이다.
“법은 일어난 일의 결과로 죄를 판단합니다만 사실 인간은 결과로 죄를 짓는 게 아닙니다. 의도가 죄죠.” -127p
그런 면에서 474 신해준은 죄책감도 없지만 악의나 의도도 없다. 그렇다면 그는 악인일까 아닐까. 아니라고도 맞다고도 하기 힘든 그의 말이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스스로 잡혀 스스로 사형을 빨리 집행해 달라는 474 신해준이 누나 신해경을 만나고 심경에 변화가 일어난다. 사형 집행을 하지 않으면 교도소에 있는 사람들을 모두 죽이겠다는 충격적인 말로 주변 사람들을 두려움에 떨게 하지만 신해경으로 인한 심경의 변화는 그에게 작으나마 살고 싶다는 의지를 심어주지만 그로 인해 교도소의 사람들에게 더욱 불안과 분노를 심어준다. 인간 이하의 취급을 하며 474에게 더할나위 없이 분명한 ‘악의’를 가지고 분노를 퍼 부운 교도 소장을 비롯한 교도관들은 분명한 악인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이 만든 법의 테두리 안에서 인간이 판단한 그의 죄는 악인임이 분명하다고 말하지만 그 또한 한번쯤은 악의를 가지고 악인이 된 적이 있는 인간의 판단이다. 심지어는 망각이라는 편리한 인간의 기능으로 자신은 모두 악인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살아가지만 정작 누군가에게 상처를 받으면 세상 없는 악인이라며 비난한다. 인간은 누구나 자기 손톱밑의 가시가 가장 아픈 이기적인 존재이니까. 기록으로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유령같은 존재인 그는 누군가의 필요로 인해 살인을 할 때에만 존재감을 느낀다. 그럴때 마다 마신 콜라캔의 뚜껑의 수는 샐수도 없는 극단적인 악인 474를 통해 우리 모두 악의를 가지고 있는 악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미 범인이 분명하고 판결이 끝난 사건 속에 있는 인물들의 심리 묘사와 작가만의 악과 악인에 대한 관념을 중심으로 흘러가는 이야기이지만 그 어떤 미스터리 소설보다도 더 강한 흡인력과 속도감, 흥미진진함이 느껴진 소설이다. 짧지만 소설로서의 흥미로움과 재미, 흡인력있는 필체로 독자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소설은 앞으로의 작가의 작품을 기대하게 만들기에 충분한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