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타고니아 특급 열차
루이스 세풀베다 지음, 정창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칠레에서 태어났고, 피노체트(아직도 이 새끼 편안하게 죽은거 생각하면 괜히 울컥 짜증이..)에게 쫓겨다녔던 작가의 파타고니아 찬가이다.(몰스킨 찬가이기도함.) 

이것은 소설인듯 기행문인듯 작가의 개인적인 경험이 담긴 노트들을 묶은 것이다. 

첫번째 '그 어느 곳도 아닌 곳을 향한 노트'는 정치범으로 감옥에 수감되었던 끔찍했던 기억을 웃을수 없는 유머와 함께 담담하게 풀어내고 두번째 '가는 길의 노트'는 출감 후 망명자 신세로 칠레의 주변국을 전전하던 이야기를, 세번째 '돌아오는 길의 노트'는 자유인이 되어 파타고니아여행을 다니며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 네번째 도착노트는 첫번째 노트에서 나온 할아버지와의 약속을 지키는 이야기이다. 스페인의 프랑코정권을 피해 칠레로 온 아나키스트 할아버지, 그러나 손자는 다시 칠레의 독재정부를 피해 떠돌다 스페인으로 간다. 이 책에는 작가의 할아버지나 작가처럼 꼭 정치적인 사건에 연루되어 옥살이를 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이름만 바뀌고 수없이 지속되고 있는 군부의 파쇼들에게 당하고 사는 사람들의 생활에 녹아있는 투쟁정신 그리고 그 와중에도 그들이 즐기고 있는 낭만과 여유가 있다.


남미문학은 많이 봐서는 안된다. 쉽게 가지도 못할 곳에 대한 짝사랑에 빠지기 십상이기 때문에. 가보지도 않은 곳을 그리워하게 만들고 포기하고 살아가는 것들의 가치를 너무 확대해서 보여주어 사람을 비참하게 만들기 때문에. 쳇. 

 

닥치는 불행은 이겨내야 하는 법이다. 나에게는 시간이 있었다. 세상의 모든 시간이 있었다. 나는 파나마로 가기로 했다. 산토스와 카날 사이는 육로로 대략 4천 킬로미터의 거리였다. 하지만 그 정도는 길을 만들고자 마음먹은 사람에게는 별로 멀게 느껴지지 않는 거리이다.

나에게 어떤 긍지가 남아있다면 그것은 내가 그곳의 인간 백정들을 잊지 않을 것이며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임을 잊지 않고 산다는 사실이다

시계는 연체자들의 마음을 무겁게 만들며, 기름을 소모하는 자동차처럼 시간을 사용하며 움직인다.

이 땅에서 우리는 행복한 존재가 되기 위해 거짓말을 하고 있어. 하지만 우리 중의 누구도 거짓말을 속임수와 혼동하지는 않아.

여기서 하나 남아도는게 있다면, 그건 시간이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