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니치在日, 당신은 어느 쪽이냐는 물음에 대하여 - 재일동포 3세 신숙옥이 말하는 나의 가족 나의 조국
신숙옥 지음, 강혜정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재일동포3세 저자의 가정사와 개인사를 소개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그대로 해방전후 100여년간의 한(남북)일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삶이 어떻게 짓밟혀왔는지에 대한 보고서가 된다.


두번째로는 재일동포들의 귀국사업의 허상에 대한 이야기이다. 탈출구가 없었던 일본에서 자이니치들이 왜 북한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는가(기실 그것은 선택이 아니었다)에 관한 이야기. 예전에 나는 최양일감독의 영화 '피와뼈'에서 왜 김준평이 북한을 선택했는지 의아했는데 이 책을 읽고 어렴풋이나마 알 수 있었다.

자신을 존재 자체로 받아들여주는 곳-민족이라는 허상을 뒤집어쓴 함정이었지만, 존재자체가 증오와 차별의 대상이 되었던 자이니치들에게는 그 함정에 빠지지않기가 더 어려웠을것이다. 영화 '우리학교'에서의 아이들이 조선방문여행에서 감격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일것이다. 


세번째는 저자가 만난 탈북난민들과의 인터뷰인데, 우리 모두 알고있는 북한정권의 무능과 끔찍한 인권탄압에 대한 보고서이다. 고통속에서 성장, 생활해왔고 또 고통받는 사람들의 편에서 목소리를 내는 저자의 모습에 부끄러운 부분이기도하다. 무지와 무관심은 재일동포들에 대한 삼국의 국가적 폭력에 가담한것이나 다름없다.

 

이 책의 일본 원제목은 <귀곡추추- 낙원으로 귀향한 나의 가족>이라 한다.  귀곡추추는 잠들지 못하는 원혼이 한스럽게 우는 소리이다. 이 곡소리는 언제쯤 멈출 수 있을지.


힘을 내지 못하니까 '약자'인 거다. 변화시킬 수 없으니까 '약자'인 거다. 힘쓰고 노력하는 약자가 아름답다는 발상은 힘낼 수 없는 약자를 추락시키고, 힘내야만 하는 구조를 온존시키는 것에 다름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