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서애 류성룡 위대한 만남
송복 지음 / 지식마당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1)  당대의 碩學 宋復 교수의 力作, "서애 류성용, 위대한 만남"을 정말 감명 깊게 읽었다.

임진왜란 - 요즘에는 "16세기 東아시아 3國戰爭"이란 표현이 더 맞다는 설이 있음 - 

당시, 名宰相 서애 柳成龍의 역할이 얼마나 위대했던가를 일깨워준, 그야말로 感銘 깊게 읽은 名著라 할만했다.  저자 宋교수의 결론은 아마도 당시 西厓가 없었더라면 朝鮮은 일본군과 明軍(지원군) 간의 담판으로 국토가 분할되고 남쪽은 일본에 할양되고 - 물론 북쪽은 明나라에 합병되었겠지만 -  王이 었던 宣祖도 王位에서 쫓겨났을 것이라는  해석인 것 같다. 그래서 당시 조선으로서는 西厓란 걸출한 인물을  만난 것은 그야말로 "위대한 만남'이 아닐 수 없다는 주장으로 책 이름부터 "위대한 만남"으로 붙인 것 같다.   

 물론 저자의 머리속에는 명재상 유성룡과 이순신 장국의 만남을 놓고 "위대한 만남'으로 보려고 했는지도 모르지만, 독자가 보기에 책 내용상으로는 그 정도로는 책 이름까지를 그렇게 붙일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고, 조선이란 나라가 서애 선생을 만난 것이 당시 時代史的으로 위대한 만남으로 되지 않을까 싶다.

그럼 과연 그것이 위대한 만남이 었을까?  임진왜란 당시의 나라 꼬락서니를 볼 때, 그런 나라를 끝까지 지키고, 심지어 宣祖까지 그 자리를 지키게 만든 유성룡의 역할을 그렇게 위대하게 평가할 수 있을까?   유성룡이 그렇게 애써 지킨 그 조선이란 나라가 1910년 韓-日합방 때까지 약 300백년간 한 일이 과연 무엇인가?  백성을 얼마나 잘 살게 하고 나라를 조금이라도 발전시켰는가?

유성룡도 결국 朝鮮 王統을 지키고자 하는데만 급급했지, 그것을 어떻게 뜯어고쳐햐 하겠다는 생각에는 미치지 못한 것이 아닌가? 또한 당시 조선이 上國으로 떠받들던 明軍이 倭國으로 멸시하던 일본군에게 판판이 깨지는 것을 보고도 일본에 대한 인식을 전혀 바꾸지 않았지 않는가. 이건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러나 이 책은 한국인에게는 근래 보기 더문 破格的(?) 내용을 담고 있는 책임에는 틀림없다. 지금까지 한국인이 自己 歷史에 대해 얼마나 엉터리로 배웠는가 하는 점, 朝鮮이란 나라가 한마디로  나라가 아니라는 사실, 조선이 얼마나 중국의 屬邦이었던가 하는 점, 일본이 이미 16세기 그 무렵에 세계적인 强國이었다는사실 등을 사실에 입각하여 진실로 깨닫게 해준 것만 해도, 누구나 반드시 한번 쯤 읽어야 할 <국민 必讀書>라고 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만한 책이다. (08/02/24  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인.한국인.비한국인 - 반골 이도형의 자전적 현대사 비판
이도형 지음 / 청미디어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저자(이도형)의 자서전 격인 이 책은 일본 식민지 시대부터 해방 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근 70년에 걸친  한국 近/現代史에 대한 생생하다 못해 처절한 記錄이요, 證言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자신이 8-15해방이 되기 까지는 "조선인"으로 살고, 해방 후에는 "한국인'으로  되었다가 근자에 들어서는  다시 "非한국인"으로 살아가는 것 같다는 식의, 격동의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자신의 삶의 軌跡을 그린 自畵像을 그리고 있다고나 할까?

저자는 다방면으로 超人的인 능력의 소유자일뿐더러 여러 모로  他의 追從을 不許하는 근면-강직-불타협의 성품의 소유자이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오늘날 뚜렷한 삶의 방향감각도, 소신도 없이 적당히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삶의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다만 한가지, 70대 중반의 年輪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너무 애국적, 이념적 색채가 강하다는 점, 나아가 일본 등 이웃 나라에 대한 민족적 反感을 강하게 풍기도 있다는 점 등이 하나의 '玉의 티' 라고나 할까! 그러나 저러나 아주 재미 있는 책인 것 만은 분명하다.

뜻잇는 江湖諸賢의 一讀을 권해마지 않는다.   贅言多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