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1
한승원 지음 / 열림원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우리 것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우리의 역사를 누군가 왜곡하려한다면 그것을 바로 알아차릴만큼 그만큼 잘 알고 있는지 생각해보게 된다. 특히나 전반적인 역사보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사람들에 대해 설명을 요구하거나 왜곡되게 말하는 경우에 그것을 반박할만큼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한번쯤 생각해 봐야할 것이다. 만약 내게 물어본다면 어물어물 대답하고 말아버릴 것 같다. 내가 알고 있는 단편적인 지식으로 이분에 대해 정말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추사 김정희. 그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은 학교 다닐 때 배웠던 것이 다였다. 추사체. 그때는 그것이 뭔지도 정확히 모르면서 대단하다라고만 생각했을 뿐 이 분에 대해 알고 싶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던 것 같다. 학교 다닐때라 학업 따라가기도 바빴으니 그분에 대해 생각할 시간이 없었다. 김정희하면 추사체가 바로 떠올랐고 그것 외에는 전무한 상태였다. 이렇게 그분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는 생각에 내가 과연 한국 사람이 맞는지 내 조상에 대한 이해가 이것밖에 안되는지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추사] 이 책 안에는 그의 삶의 여정이 들어있다. 어릴 때부터 시작해 그가 죽음을 맞는 순간까지 그의 삶의 행적들이 이 책을 통해서 볼 수 있다. 김노경의 자식으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 큰아버지의 양자로 입적된다. 그리고 그가 양자가 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가 돌아가심으로 아직 어린 나이지만 월성위의 주인이 된다. 그가 양자가 된 후 그의 교육을 위해 아버지는 서얼인 박제가를 그의 스승으로 삼고 이로 인해 북학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 후 초생이라는 여인을 알게 되면서 겪게되는 좋은 일들과 나쁜 일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초생의 몸에서 낳은 상우. 그러나 신분이 낮음으로 인해 아버지 김정희를 한번도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대감마님으로 불러야하는 상황과 그 상황을 가슴아파하는 김정희의 모습도 볼 수 있다. 또한 초생을 짝사랑했던 김우명과의 악연과 그 당시 실세였던 김조순에 대항함으로 귀향을 갈 수밖에 없었던 사연들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세상에 잘못된 학문을 바로잡고자 당시 위세가 대단했던 승려나 학자들을 찾아다니며 그들의 잘못을 꼬집는 대목도 볼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난세에 태어난 그가 너무나 안타까웠다. 자신을 알아주고 그 기세를 펼칠 수 있는 시대에 태어났더라면 그는 추사체라는 명필가로 알려지지 않고 좀 더 달리 알려졌을 수도 있었을텐데 하는 생각도 들었다. 자신의 사리사욕보다는 백성의 안위와 백성을 위하는 그의 모습을 보며 위세를 부리는 이들 앞에서 꼿꼿하게 서 있는 대쪽같은 대나무가 아니라 조금은 휘어질 줄 아는 그런 성정이었더라면 더 많은 일들을 할 수 있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내심 들었다. 하지만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려는 이들 앞에서 아무리 휘어지는 성격을 가졌다 하더라도 그것이 훗날 자신들의 목에 칼날을 드리우려하는이라면 그것이 용납되지는 않았겠지만 말이다.

 

자신의 부인 예씨와 초생을 모두 사랑한 추사. 그러나 초생의 몸에서 태어난 상우는 그에게 큰 근심이었다. 늘 그는 서얼 출신인 그의 자식을 보며 그를 걱정한다. 적서차별이 엄연히 존재했던 조선시대에 그를 세상에 두고 떠나는 것을 늘 근심스러워했다. 그리고 상우와 둘만 있게 되는 상황에는 어김없이 자신을 아버지라 부르라 하지만 세상이 혹시나 꼬투리를 잡을까 상우는 그것마저도 주저한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가 자신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잘 알지만 추사 김정희의 명성에 밀려 빛을 발하지 못하고 그러한 것을 알기에 김정희는 더더욱 가슴 아파한다.

 

이 책을 통해 지금껏 내가 알지 못한 추사 김정희를 알 수 있었다. 그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그의 인생 여정은 어떠했는지 등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 책을 읽으면서 그가 했던 말이 떠오른다. 그는 자신을 세간의 사람들이 천재라고 일컫는 것을 들으며 자신은 천재가 아니라 그만큼 노력해서 글씨나 그림 등을 잘 그릴 수 있게 되었다고 이야기한다. 에디슨이 성공은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이뤄진것이라고 말했듯 추사 또한 9할의 노력과 그 노력이 하늘에 닿아 그것이 지금 자신을 있게 만들었다고 이야기한다.

 

그의 글씨는 그의 삶이다. 그는 모든 잊고 싶은 순간에 글을 썼고 힘든 상황을 벗어나고자 글을 썼다. 또한 외로움이 닥쳐올때, 자신이 어찌할 수 없는 순간에 글을 썼다. 이러한 노력이 있었기에 우리는 추사를 기억하고 추사 김정희를 지금도 인정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