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샘터 2014.7
샘터 편집부 엮음 / 샘터사(잡지)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어느덧 2014년도 절반이 지나가고 있군요. 견우직녀달, 샘터 7월호에는 어떤 글들이 실렸을까요?
<맵고 싸고 맛있는 꿈> pp.18~19
전국 3천 군데 떡볶이 가게에 방문했고, 떡볶이를 먹느라 한 달에 5백만원을 지출하며, 하루 세끼를 떡볶이 여섯 그릇으로 대신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누군가는 그런 '미친'(?) 사람이 있느냐며 놀랄 수도 있겠고, 누군가는 자신의 모습 같아서 놀라기도 하겠죠? 떡볶이 고수 김관훈 씨는 회사도 때려치고 '떡볶이 컨설턴트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도 참 좋아하는 간식에 이렇게 미친 사람이 있다는 것도 놀라웠고, 이 음식을 더욱 맛있게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하는 그의 모습에 감탄하기도 한 기사였습니다.
<남편은 '야식 좀비'> p.60
여름밤의 야식에 관한 특집 기획에 실린 결혼 8년차 주부 정현주 님의 글이 가장 기억에 남네요. 몽유병 처럼 본인은 기억 못하지만 밤중에 냉장고를 뒤적거리면서 잠결에 야식을 해결하는 남편의 독특한 습관에 신혼 초에 잠을 설치기도 한 정현주 님이지만 처음에는 야식꺼리를 숨기려고 노력하다가 비몽사몽간에 요리까지 시도하는 남편의 모습을 보고 잠결에도 먹기 좋을 음식들을 보기 좋은 위치에 배치하고 나서 남편의 냉장고 약탈도 줄어들고 위험한 잠결 요리시도도 없어졌다는 글을 보고 서로 다른 이들이 꾸리는 부부생활이지만 서로를 이해하고 맞춰준다면 화목하게 살아가는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처음 찍은 답은 고치지 말아야 할까?> pp.96~97
이번 달 과학에게 묻다 코너에서는 학창시절, 자격증 시험, 취업 시험 등에서 늘 우리를 괴롭히는 문제를 다루었습니다. 과연 객관식 시험에서 처음에 찍은 답을 고치는게 나을지 아닐지에 관한 겁니다. 결론적으로는 직감으로 찍은 최초의 답을 고수하는 것은 대개 불리하다고 합니다. 심리적으로 '답을 바꾸는 바람에 틀린 것'이 '답을 고수하여 틀린 것'보다 개인에게 더 상처가 가기 때문에 이를 피하려는 인간의 '손실 회피' 성향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혹시나 앞으로 볼 시험에 아리송한 문제가 있다면 통계적으로 2배 정도 더 유리하다고 하니 이제 과감히 바꿔보는게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