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때 수학 꽉 잡는 법 - 잠수네 아이들의 수학 비밀 노트 잠수네 아이들
이신애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4년 12월
평점 :
품절


이신애씨가 쓴 책은 모두 책값하는 책이네요.

"초등학교 때 수학꽉잡는 법"도 멋진 책입니다.

다만 알고 쓰는 체험수학 교구 잠수네가 추천하는 수학도서 부분은 몇년전에 출판되어서 인지 개정되었으면 하는 부분이예요.( 체험수학교구부분에 소개된 줌비니수학게임cd(3종류)는  모두 구입해서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전 도서관에서 빌려보았지만 개정판이 나온다면 우리 둘째애를 위해서

두고두고 볼 수 있도록 한권 소장하고 싶어요.

개정판! 꼭 부탁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치흐름 지도 작성법
마이크 로더 지음, 강신철 옮김 / 한국린경영연구원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아래 내용은 교보문고에서 퍼온 내용입니다.

따라하기만 하면 되는 린생산 ...

중소기업 제조컨설팅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는 저로서는 열악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제조 혁신방법에 대해 오래동안 고민해 왔습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극적인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업 혁신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며, 중소기업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경영혁신 기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중소기업이 대기업 하청생산 지위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원가절감을 위해서는 자사 중심의 노력이외에도, 납품대기업과의 협력기반 하에 품질관리를 추진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국내 기업의 린-생산방식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주로 대기업을 중심으로 교육 및 컨설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린-생산방식의 도입은 거의 시도되지 않아, 근본적인 경쟁력제고 기회를 포착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역서는 린 추진방법을 매우 쉽게 설명하고 있어서 중소기업의 관리자가 읽어도 실행에 옮길수 있는 책이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생님을 찾습니다
해리 알러드 지음, 제임스 마셜 그림, 김성희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7살 우리 아이, 10살인 언니도  너무 좋아하였다. 후속편인 "요놈들아 내가 돌아왔다"를 같이 읽었는데 공공도서관에 빌린 책이라 반납해야 하는데, 사주지 않으면 절대 반납안할 꺼란다.

오늘 장거리 여행갈때도 가지고 갔다. 가는 길에 아빠차 천장에 씹은 껌딱지를 딱 붙이고는 나도 껌 붙였다! 한다. 책속의아이들의 행동에 교실 천장에 껌붙이는 행동이 있는데 이를 모방하는 행동을 하는 모양이었다.

애가 너무 좋아하는 걸보니 행복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아온 고양이 작은책방 무지개동화 1
박경리 지음, 홍영지 옮김 / 작은책방(해든아침)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가슴이 찡한 이야기입니다. 7살 딸에게 읽어주니 무척 좋아했어요.

그런데 왠지 작가  자신의 이야기를 쓴 것 같은 느낌이예요.

사실인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얼마전 그녀가 작고했을때 그녀를 다룬 기사들에서

그녀에게도 외동딸이 있다고 했는데,

선주의 엄마가 박경리 자신이고, 선주는 그녀의 외동딸인 것 같아요.

종이재질도 좋고, 그림도 좋아 한장 한장 넘길때 마다  기분이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함쟁이 엄마 비룡소의 그림동화 148
유타 바우어 글.그림, 이현정 옮김 / 비룡소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딸아이가 초등1학년때 이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쓴 적이 있는데,

 그 글을 생각하면 지금도 웃음이 난다. 책요약만 잔뜩 써놓았길래 네 생각도 써야지 했더니

마지막에 다음과 같은 한줄을 써놓았다.

 " 나는 이 책을 읽은 후 생각나는 속담이 하나 있다". 바로 " 병주고 약준다"이다.

 난 혼자서 박장대소를 했다.

아이의 시각으로 볼때는 고함을 지를 때는 언제고 또 마음아파하는 엄마의 모습이 병주고 나서 약주는 것처럼 느껴지나 보다. 하긴  아이가  고함지르고 나서 이내 마음아파하는 엄마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것은 아이답지 않는 일이다. 정말 애다운 생각이죠?

우리애가 엄마가 되었을때 위 독후감을 읽어볼 수 있도록 독후감노트를 고이 간직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