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위안부 -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
박유하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논란이 많은 책이다.그리고,일본에 대해 고정관념이 있는 나와 같은 독자들은 책의 내용을 충분히 인정하면서도 무척이나 불편한 책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책이라 생각한다.식민지배를 받은 피해자인 우리입장에서는 참으로 어려운 일이지만 반일 민족주의와 국수주의적 사고라는 틀에서  벗어나서 볼 필요가 있다. 마침,오늘 뉴스를 보니 일본에서 제공한 배상금을 기본으로 "위안부재단"을 설립하기로 하였다고 하던데 이전같으면 별 생각없이 넘어갔을 텐데 꼼꼼히 이면을 볼수 있었다.

일부 혹은 많은 사람들이 저자를 "신친일파"라고 부른다.하지만,책의 전체내용을 살펴보면 저자는 충분히 일본제국주의와 식민지지배로 인해 발생한 피해와 잘못을 지적하고 있다.그것이 민족주의적 시각이 아닌 객관적인 입장에서 보려한것이 마음을 불편하게 할 뿐이다.

난 이책을 통해 "위안부"와 "정신대"의 차이를 알았고,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이 최선이 아님을 알았고,"정대협"의 활동이 반드시 피해자인 할머니들만을 위한 활동이 아님을 알았다.일본정부가 사죄한 사실이 있다는 것도,일본의 사죄와 보상금을 받아들인 위안부 할머니들도 현재 정대협소속할머니들 만큼 많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나역시 대부분의 경우 "진보좌파"의 의견에 동의하는 바이지만,민족이라는 이름으로 "정의"를 독점하고 세력의 확장을 위해 "위안부"를 이용하고 있는건 아닌지 의심스럽다.

불편하지만,감정을 자제하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위안부"문제의 해결을 추진할때다.

100%공감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70~80% 저자의 의견에 공감한다.

"위안부"의 피해는 보상되어야 하지만,"조선인 위안부"는 한국이 바라는 방식으로 "기림"을 받기에는 모순이 없지 않은 존재다.그들을 기억해야 한다면,있는 그대로,식민지의 모순적인 존재로서,가난한 부모를 봉양하고 오빠를 우히 희생한 가부장제하의 가난한 누이로 기억되어야 한다.그리고 국가와 자국의 남성들이 지키지 못해 타국의 남성들에게 가혹한 환경에서 성을 제공해야 했던 존재들로 기억되어야 한다.

한국전쟁과 분단은 좌우대립의 결과이기도 하지만,거슬러 올라가면 식민지 시대에 협력이나 저항중 어느 한쪽의 태도를 취할것을 강요당하도록 만들었던 일본 통치의 결과이기도 했다.일제시대때 "저항"한 이들은 대부분 출신 민족과 상관없이 좌파 계열이었으니,그런 의미에서는 한국의 좌우분열은 단순한 이념대립이기 이전에 민족/반민족 분열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