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춘성 - 무애도인 삶의 이야기
김광식 지음 / 새싹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춘성"을 읽어야 겠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는 인생의 먼(?)여정의 산속을
걸어가고 있는지금, 내가 가고있는 길이 정말 내인생을 위해 잘된선택일까?
하는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어쩜 내가 알지도 못하는 한 무애도인의
삶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기인하였다.
우린 언제부터 "무(無)"를 "아니다"라고 생각하였을까? 모든 선택에서
아무것도 취할 수 없음에 대하여 인정하지 않으려하고 어떤 죄악보다도
더 가치를 두지 않으려고 하였을까? 우린 저승사자가 찾아와 손목을 잡을
그 순간까지 생각한다. "나는 왜 아무것도 가진것이 없을까?" 하고 말이다.
허나 "인간은 왜 모든것을 다 버리지 못하는 것일까?"하고 그의 생활은
말한다.
 춘성을 읽고 2틀동안 뇌리를 떠나지 않는 물음이 있었다. "나는 누구인가?"
라는 자문이였는데 하루가 지나니 그 물음은 "우린 누구인가?"라는 의문
으로 바뀌었다. 무신론자인 내가 종교적인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눈이
바뀐것이 아니라 항상 내자신만을 생각하고 살았던 지난세월들에 대해
얼마나 편협하고 좁은 생각으로 삶을 살아왔는지, 씁쓸한 기분이 엄습해왔
었던게 사실이다. 춘성이 한 다음의 말들은 잊을 수가없다.
 "사자사는 마을이 있는게 아니라, 자기 업장이 곧 사자요,우리 악몽이 업장
이요, 사자요, 하느님과 부처님이 둘이 아니요. 마음이 부처님이요. 마음이
하느님이니 마음 밖에 부처님이 없고, 하는님이 있는게 절대 아닙니다.
갈때도 무(無)! 올 때도 무(無)! 똥 쌀 때도 무(無)! 하세요." 얼마나 참다운
말인가! 그는 인간에게 모든걸 버리라고 하진 않았다. 열심히 살것을 강조
했지만 그와함께 참선, 정말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도리를 깨우치기를
바란것은 아닐까. 수좌들조차가 그가 바로 참중이라고 할정도로 그는 언어를
앞세우는 그런 사람이 아니라 항상 그의 행동이 곧 설법인양 몸소 보여주었
다는것이 너무나 감명깊었던게 사실이다. 어머니를 따라서 절에도 다녀보았고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 교회도 몇년 다녔지만 언제나 드는 선입견은 "기도하면
다 된다~"라는 식의 그런 이미지가 현대우리사회에 너무나 깊이 박혀있고
실상또한 그와 다르지 않을까 싶다. 내가만약 춘성스님같은 분을 만났더라면
말이아닌 행동으로 진정한 삶을-자신을 위한, 남을 위한-사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더라면 나또한 절이나 교회에 나갔었을지도 모른다는 씁쓸
한 생각을 해본다. 거리에서 만난 추위에 떨고 있는 사람에게 자신의 단벌밖에
없는 옷을 벗어주고는 공중화장실에서 밤이 되길 기다리다 근처의 절로 뛰어
갔다는 춘성스님의 맘을 물질문명에 눈이 먼 우리 인간들이 조금이나마 알아
줬으면 하는 작은 바램이다. 이 "춘성"은 절을 믿는 신도들이 읽어야 할 책도
아니고 타 종교의 교인들이 경험해야 하는 소설도 아니다. 이것은 인간이
인간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것인가를 일깨워주는 "자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도무문12 2009-05-13 2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공감가는 말씀이네요.한권의 책이 이렇게 많은것을 일깨워 주기도 하니 말입니다.

gupi9939 2009-05-14 0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를 보고 이책을 꼭 읽고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다음 차원으로의 여행 - 통찰과 자가 치유로 이르는 길
클레멘스 쿠비 지음, 송명희 옮김 / 열음사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다음 차원으로의 여행...아마 진정 우리에게 다음차원으로의 여행이 주어지고 그곳에서 평생 살아야 한다면 그곳은 어떤곳이였으면 좋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아니 그런생각은 내가 얼마나 물질이 우선시되는 세상에 살고 있으며 내 자신조차도 30년이 넘게 그런 생각들이 너무나 당연하다고 여기고 살았나하고 받아들이니 씁쓸한 맘을 가눌수없다. 경제적으로 여유있는게 삶의 목표였으며 내인생의 계획은  그 안에 머물러서 단 한번이라도 진정 정신적인 삶에 의미를 둔적이 한번도 없었던게 사실이다.책을 읽다 문득 토다족이 한말을 들으며 얼마나 지금의 내삶이 껍질만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에게는 없는 것이 없지요.우리는 모든것을 다 가졌어요. 우리는 풍요롭고 두려움이 없지요" 이말을 듣는순간 나또한 저자처럼 내가 얼마나 정신적으로 궁핍한 삶을 살아왔나 하는 생각이들었다. 무수희 많은 날들과 많은 시간들을 보내면서도 단 한번도 진정 만족하는 맘을 가졌던적이 없으니말이다.
 인간은 무엇보다 정신적인 존재이지 육체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생각은 비단 종교를 가진이들만의 진리는 아니라는 저자의 말을 듣는순간 그동안 내 시야를 가지고 있었던 어떤 울타리가 없어지는듯 했다. 그동안 주술사들의 의식을 보면서 단순히 그들이 귀신과 소통을 하기도 하구 인간의 몸에서 쫒아내기도하는 행동들이 거짓된 쇼처럼 보였던게 사실이고 미신이라는 자체를 믿지않았었다. 그런데 티베트식 의식으로 사람의 병을 치료하는 라모돌카의 삶을 보면서 인간이 인간을 치료하는 그 밑바탕에는 기적을 일으키는 놀라운 힘이있는게 아니라 병자의 병이 완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 있다고 하였다. 다음 구절을 보면 그 마음이 담겨있다."그래서 돌카의 절대적인 소망,즉 나에게서 통증이 떠나기를 바라는 소망이 돌카의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우러나와 나에게서 실현된 것이다."
얼마나 인간적인고 정신적인 대목인가!! 인간이 인간을 치료하는게 물질적인 대가가 아니라 진정한 마음에서의소망하나가 전부라고 한다면 얼마나 감사한가 말이다..다음 차원으로의 여행..경제서적처럼 미래지향적인 많은지식이나 전망을 주지도 않지만, 대중소설처럼 짦은 웃음을 주지는 않지만 진정 우리가 가져야할 중요한 부분이지만 생각해보지도 않은 정신적인 삶에 대해 작은 깨우침을 주었다는 점에서 인생을 다시살아야 되지 않을까..하는 뉘우침을 준책이다.저자 클레멘스 쿠비처럼 우리도 정신적인 삶을 살기위해 노력한다면 물질문명이 우선시되고 육체가 전부인것처럼 생각하는 우리시대에 기적처럼 많은 일들이 생길수 있다.그러나 그건 어쩌면 기적이 아니라
단순히 진리인지도 모른다. 우리가 태어난 자연으로 돌아가는 일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하 직원이 당신을 따르지 않는 10가지 이유 서돌 직장인 멘토 시리즈
마렌 레키 지음, 김세나 옮김 / 서돌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그동안 사회생활을 하면서 윗사람과이 관계보다는 부하직원과의 관계가 더욱 어렵고 힘들었었다.상사와의 관계에서는 내가 부족한점은 내가 노력해서 고치고 붙임성 있게 하여 악화된 관계를 완화시키는 방식으로 처리했기때문에 나의 노력으로 해결되었었다. 그런데 부하직원과의 관계에서는 도대체가 너무 답답했다 꾸중도 해보고 타이르기도하구 때론 챙겨주기도 했으나 역시 마음을 열지않는 부하직원들을 리드하기란 너무어려운것 같았는데 이책을 읽고 많은 부분이 해소된것같다.물론 이책한권으로 인생살이중 제일 힘들다는 직장생활의 해답을 줄 수는 없겠으나 최소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 제시한점이 도움이 많이 되었다 ."인관"과"신뢰"가 바탕이 되지않은 부하직원과의 관계는 나아질 수 없다라는게 저자의 의도인것같다. 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은50가지 비밀에 이어 이책도 어려운 직장생활의 방향을 제시해준것 같아 매우감사하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