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글씨가 나를 바꾼다 - 글씨를 보면 사람이 보인다
북카라반 편집부 지음 / 북카라반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씨를 보면 사람이 보인다는 것이 이 책의 부제이다. 요즘도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이런 말을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글씨는 마음의 거울이라거나 마음의 창이라는 말을 굉장히 많이 들었다. 그래서 마음이 바른 사람은 글씨도 바르지만 마음이 삐뚜른 사람은 글씨도 삐뚜르다며 글씨를 예쁘고 바르게 쓸 것을 강조했었다. 실제로 글씨가 반듯하고 예쁜 사람들은 괜히 성품도 좋아 보이고 사람이 달라 보이는 효과가 분명 있고, 반대로 글씨가 삐뚤빼뚤하고 엉망이면 괜히 공부도 못했을 것처럼 느껴진다. 이렇게 손글씨 하나가 그 사람의 인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저자는 이것을 손글씨의 매력이자 마력이라고 말한다.


이런 이유로 손글씨를 잘쓰는 사람은 부러움의 대상이 되는데 반대로 나처럼 손글씨가 엉망인 사람은 그 스트레스가 어마어마하다. 그나마 요즘은 손글씨를 적을 일이 많이는 없지만 가끔 손글씨를 써야 할 때면 굉장히 신경이 쓰이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개인적으로는 정말 악필이라 글을 적으면 다른 사람이 알아보지 못할 것을 걱정해야 할 때도 있을 정도이다. 그래서 글씨 연습을 하려고 가나다 같은 것을 프린트로 출력하여 따라쓰는 연습을 하기도 했다. 요즘엔 예쁜 손글씨 폰트가 많아서 마음에 드는 글씨체를 골라 그대로 따라쓰는 연습을 했는데 그다지 효과를 보진 못했다.


예쁘게 보이는 손글씨체를 똑같이 따라쓰다보면 그런 글씨체를 가질 수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그냥 글씨체를 따라만 쓴다고 해서 글씨가 예뻐지는 것은 아니었다. 우선 글을 잘 쓴다는 것에 대하 고정관념부터 바꿀 필요가 있다. 우리는 손글씨를 잘 쓴다고 하면 글을 아주 예쁘게 쓰는 것을 생각하는데 저자는 그보다는 정확하고 명확하게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글을 쓰는 목적은 그것을 읽기 위함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명확하게 읽힐 수 있게 글씨를 써야만 한다. 글체가 유려한 것이 물론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평범하고 예쁘지는 않더라도 반듯하고, 정확하고, 명확해서 잘 읽힐 수 있다면 그게 좋은 글씨라는 것이다. 애초에 예쁜 손글씨 폰트를 따라서 쓰는 연습을 할게 아니라 반듯하게 쓰는 연습을 했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한글과 손글씨에 대한 원리를 알면 글씨를 반듯하게 쓰는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한다. 한글의 원리는 의외로 아주 단순하다고 한다. 그래서 한글 연습을 하는데는 복잡한 설명이 필요없다고 말한다. 간단한 기본 원리만 깨우치면 누구나 반듯하게 손글씨를 적을 수 있게 된다는 뜻. 이 책은 그렇게 손글씨를 반듯하게 쓸 수 있는 기초 원리를 알려준다. 책은 한글과 손글씨에 대한 이론을 다룬 원리편과 실제로 단어와 문장을 따라서 쓰면서 실전연습 할 수 있는 실전편으로 나뉜다. 챕터3에는 장문의 문학작품을 써보는 종합편도 있지만 실제로 연습을 하는 실전에 포함시키면 크게 이론과 실전연습 두 파트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역시 이론이 중요한데 이론은 손글씨의 원칙과 손글씨의 3대 요소, 한글의 구성과 손글씨 연습 순서로 되어 있다. 손글씨는 가독성과 명확성이 생명이다. 글을 반듯하게 쓰기 위해서는 예쁜 폰트의 글씨체보다 투박하더라도 정자체가 더 좋다. 우리는 손글씨 연습을 하게 되면 예쁜 글씨체로 연습을 하는데 익숙해지기 전까진 우선 정자체로 연습을 하는 것이 좋겠다. 가독성이 좋다는 것은 반듯하다는 뜻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글자 넓이와 글자 높이, 글자 간격을 잘 맞춰서 써야 하고, 띄어쓰기에도 주의해야 한다. 글자의 넓이, 높이, 간격을 잘 맞춰서 쓴 글과 그렇지 않은 글을 비교해보며 어떻게 글을 써야 할지 고민해보게 된다.


손글씨를 잘 쓰는 3대 요소가 나오는데 안정, 조화, 정돈이다. 결국 이것은 저자가 계속 강조하는 가독성과 명확성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 봐도 될 것 같다. 들쭉날쭉하지 않고, 가지런하게 잘 정돈된 글자는 글씨체가 예쁘지 않더라도 잘 썼다고 느껴진다. 우선 손이 떨리면 글씨도 흔들린다. 안정감을 가지고 긴장하지 말고 과감하게 써야 한다. 둘째로 한글은 자음과 모음, 받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손글씨를 쓸 땐 자음과 모음의 조화, 이웃하는 글자간의 조화, 낱말돠 낱말의 조화, 문장과 문자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써야 한다. 조화 즉 균형감이 중요하다. 이건 잘 모르는 사람이 생각하기에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가지런하게 써내려간 글은 시각적으로 잘 정렬된 느낌을 주고 이는 글을 잘 썼다고 느끼게 한다. 글씨 한자한자도 중요하지만 그것의 배치와 간격 등 전체적인 균형감에도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이다.


손글씨를 연습할때는 처음부터 단어나 낱말을 따라서 쓸 것이 아니라 우선은 세로·가로·대각선 선을 긋는 것과 원을 그리는 것부터 연습해야 한다고 한다. 어차피 선이나 원이야 글자를 쓰게되면 자연히 연습도 될거라고 생각하게 되지만 글자가 아니라 선을 반듯하게 긋고 원을 반듯하게 그리는가에 따라 손글씨가 좌우된다고 하니 이런 기본적인 연습부터 철저히 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다. 선은 다르게 말하면 '획'인데 획은 손글씨의 출발이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한글을 구성하는 요소가 선과 원인데 가장 작은 요소부터 차근차근 연습을 해나가야 한다.


가장 중요하다고 말을 하지만 사실은 가장 지루하고, 재미없고, 의미없게 느껴지는 시간이기도 할 것이다. 선 못 긋는 사람이 어디있겠는가? 그래서 그냥 별생각없이 쭉쭉 긋게 되는데 선이 모여서 하나의 모음이 되고, 모음과 자음이 모여서 하나의 단어를 이루고, 단어가 모여서 문장이 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글씨의 출발은 모음, 즉 선이 된다. 그래서 한글의 가장 기초이자 시작은 모음 'ㅣ'라고 한다. 단순히 세로획을 긋는 것이 한글 손글씨의 첫출발이 되는 것이므로 선 하나를 쓰더라도 반듯하고 바르게 쓰는 연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전에는 이렇게 글자를 모음과 자음으로 나누고, 또 그것을 가로선, 세로선, 대각선, 원으로 분해하여 하나씩 연습할 생각을 하지 못했다. 그저 예쁜 글씨를 통째로 따라 쓰기만 했는데 연습하는 방식의 발상이 완전히 다르다.


세로·가로·대각선을 긋는 연습과 원을 그리는 연습을 하고 나서, 선과 원이 합쳐진 형태인 모음과 자음을 연습하고,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형태를 연습하고, 거기에 받침이 들어가고 마지막으로 쌍자음, 쌍받침, 겹받침을 연습한다. 이렇게 글자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요소에서부터 조금씩 확장시켜가며 글씨 연습을 하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한글의 원리와 손글씨의 기본 원칙 같은 것을 이해하고 글을 쓰면 조금 더 반듯하고 정확하게 글을 쓰게 될 수 있을 것 같다. 좋은 손글씨, 예쁜 손글씨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고, 선과 원에서 출발하여 모음 자음을 거쳐 받침이 있는 글자까지 연습순서를 가져가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도 배울 수 있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