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센터 상담원, 주운 씨 - 전화기 너머 마주한 당신과 나의 이야기
박주운 지음 / 애플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과 나의 이야기,

맞다. 전화기 너머의 타인과 나의 이야기,

콜센터 상담원과 소비자와의 관계.


주운이라는 이름에 상.담.원.이라고 하여 여자의 이야기일 줄 알았는데, 남자 상담원의 이야기다.

조용히, 담담히,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 내고 있다.

처음부터 상담원을 목적에 두진 않았으나, 대학교를 졸업하고 취업처 이 곳, 저 곳을 다니다 마지막 종착역인 티켓부문의 콜센터 상담원 주운씨.

나도 그런 경험이 있다.

목적도 없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아무이유없이 회사에 들어가 돈을 벌고, 그냥 대학이 가고싶어 마음에도 없는 가장 무난하다는 유아교육과를 지원하여 우야무야 졸업하고 직장에 들어간 경험.

여기 찔끔, 저기 찔끔, 나도 그랬다.

그래서 였을까?

 더 좋은 곳이었던 그 곳들을 왜 나왔느냐고, 왜 콜센터밖에 들어갈 수 없었느냐고,

나에게는 나와보니 첫 직장이 그래도 가장 낫더라

그렇지만 그는 콜센터에서 5년을 몸 담고 많은 것을 배우고 나왔다.

입사의 문턱은 낮지만, 내 몸을 오래 뉘이기란 쉽지 않은 그 곳,


그러나, 주운씨는 기업의 이름을 대표하여 소비자를 맞이하는 상담원으로써, 그 외의 많은 '을'들 직장인을 대표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구직활동을 하여 많은 직장에 몸 담고 있고, 또 그 곳에서 여러 고객들을 맞이하고 상담을 하고 그들이 원하는 것과 내가 내어줄 수 있는 것, 그들은 원하지만 나는 내어줄 수 없는 그 위태로운 줄다리기를 하고있다.


입사 5개월의 그는 그곳에 적응이라 해야 할지, 순응이라 해야 할지, 어쩌면 둘 다 아니라 자발적 노예가 되어 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야기 하였다.


 그 중에서 주운씨는, 메뉴얼대로 따랐으나, 고객의 요구에 의해 상관에 연결하여, 혹은 본사와의 연결로 인하여 내어줄 수 없다고 명시한 부분이 내어짐으로 그들이 원하는 것을 가진다는 오류가 있다라고 이야기 한다.

그러한 것이 있어 소비자들은 더더욱 요구한다고, 메뉴얼대로 수긍하면 바보라는 인식이 있다고... 부정할 수 없다.

나도 간혹 해 줄 수 있는데 안 해주는 거 아냐? 라는 의심으로 요구할 때도 있었다.


상담원은 죄인이 아니다. 누구에게도 타인의 마음을 짓밟을 권리는 없다.


우리는 왜 전화기만 붙들면 난폭해지는 걸까? 그들은 직원일 뿐인데 왜 그들에게 화를 내고 요구하는 것일까..

최근들어,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분들의 인격을 보호해 주자는 분위기가 풍기고 있다.

상담원은, 누군가의 엄마나 자식이라서가 아니라, 그 존재 자체로 존중받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보이지 않는 신분제도가 있는듯 하다.

직장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디다니니? 연봉은 얼마니? 직급은 어떻게 되니? 개인적인 질문인데 그걸로 자신의 소속을 나타내고 위치가 선정되는 듯 하다.


주운씨도 친구들에게 당당히 이야기하지 못했다 한다.

5년이나 일하게 될 줄 몰랐다며.. 그러나 그 곳에서 이런 일 저런 일 겪으며 자신도 많이 다듬어지고, 고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일하는 중에 가벼운 우울증도 앓고 무기력증도 앓았다고, 친구들에게 안 좋은 모습도 보였으나, 명상을 터득하게 되어 좋아졌다고, 그 곳에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오래있을 곳은 되지 못하지만, 각자가 얻어갈 것이 있을 거라고 이야기를 한다.

있는 그대로의 사회를 마주할 용기가 내안에서 조금씩 자라났다고

 어쩌면 주운씨는 콜센터 일을 하게 됨으로써 자기자신도 들여다 보고 자신이 하고 싶은 것, 할 수 있는 것을 찾은 진정한 위너가 아닐까 생각한다.


지나온 시간 속에서 무엇을 찾고, 어떤 것을 느끼는지는 나의 몫인 것 같다.

의미 없는 시간이라고 느끼면 정말 그렇게 되는 것이고, 작은 의미라도 찾으려고 노력하면 얻는 게 있을지도 모른다.

 결코 아무것도 아닌 시간은 없다는 생각에 마음이 놓인다.

나를 가장 힘들게 한 건 다름 아닌 나 자신이었다고 주운씨는 깨달았다.



이 글을 읽으며 나도 그랬는데 왜 난 느끼지 못하고 지금 여기에 와 있나 싶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글을 쓴 주운씨에게 앞으로 걸어갈 주운씨에게 이전보다 나은 빛이 기다리고 있기를 응원하게 되었다

입사 5개월의 그는 그곳에 적응이라 해야 할지, 순응이라 해야 할지, 어쩌면 둘 다 아니라 자발적 노예가 되어 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이야기 하였다.
지나온 시간 속에서 무엇을 찾고, 어떤 것을 느끼는지는 나의 몫인 것 같다.

의미 없는 시간이라고 느끼면 정말 그렇게 되는 것이고, 작은 의미라도 찾으려고 노력하면 얻는 게 있을지도 모른다.

결코 아무것도 아닌 시간은 없다는 생각에 마음이 놓인다.

나를 가장 힘들게 한 건 다름 아닌 나 자신이었다고 주운씨는 깨달았다.



상담원은 죄인이 아니다. 누구에게도 타인의 마음을 짓밟을 권리는 없다.
상담원은, 누군가의 엄마나 자식이라서가 아니라, 그 존재 자체로 존중받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