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아저씨 개조계획
가키야 미우 지음, 이연재 옮김 / ㈜소미미디어 / 2020년 2월
평점 :
절판


정년아저씨 개조계획.

우리나라의 82년생 김지영이 많이 생각나는 작품이었다.

주인공을 여자에서 남자로,

화자를 아내에서 남편으로,

82년생 김지영에서는 '아내가 육아를 전담하며, 이상한 증상을 보이면서, 남편이 걱정하고 어쩔 수 없는 우리사회' 로 끝맺음을 내었다면 이 책은 실질적인 가장의 역할에서 정년을 맞이하여 가정으로 돌아온 남편에게 아내 또한 나이가 들고 온전치 않아 이전 처럼 대접해 줄 수 없음을 말이 아닌 모습으로, 딸의 입을 통해, 자신의 손주의 하원도우미를 시킴으로써 몸으로 깨우치는 내용이다.

 정년을 맞이한 쇼지는 근속년수 40년을 채우고, 가정으로 돌아왔다.

아내와의 여행 계획도 세웠다.

아내도 좋아할 거라고, 그러나 아내는 냉담하기만 할 뿐이다.  친구와 보내달라고 요구해 왔다.

심지어, 함께 자려고도 하지 않고,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려 한다.

나와 함께 있으면 폐소공포증이 생긴단다.

이를 늦도록 시집도 가지않고 집에서 출퇴근 하는 딸에게 이야기 하였으나, 되려 당신! 이란 소리에 호통만 듣고 만다.

엄마가 그동안 아픈 것도 몰랐느냐고,


독립하여 가정을 꾸린 아들이 찾아와 손주들의 하원도우미를 요청한다.

맞벌이를 하는데 귀가 시간을 맞추기 힘들다고 도와달라는 소리에 거절하고 싶었으나, 도와주게 되었다.

거절할 분위기가 아니었다.


육아를 하는 것은 모성본능이 있는 엄마가 해야 한다는 소리가... 3살까지는 엄마가 돌봐야 하는 속담이... 신화가 되어 버렸단다. 딸과도 대화가 통하지 않는 아버지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가 쇼지만의 문제가 아님에 안도한다.

아라키 역시 나와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

 아버지에게 당신이라고 지칭 하는 것이 적응이 안되었다.

 여자의 마음을 대변하는 듯하여 작가가 누군지 찾아봤다.

역시! 여자의 마음은 여자가 안다.

 며느리도 처음부터 시아버지와 대화를 하진 않았다.


시아버지가 손주들의 하원도우미를 해 주며 일하는 며느리가 힘들 것임에 이해를 하고 도와 주고부터

대화가 오가게 되었다.

 우리집에서도 늘상 하는 말,

나도 엄마밥 먹고 자라고 너도 엄마밥을 먹고 자랐는데 왜 밥 하는 건 내 일이냐고,

가끔이라도 요리하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요청하여 해 주겠다는 말은 듣고 있는데.. 언제쯤일지... 기다리고 있다.


쇼지가 생각하는 어머니의 상이 실제 어머니의 상이 아니었다.

형제들에게 이야기 하니 그들의 어머니는 그가 생각하는 모습과 많은 차이가 있었다.

막내인 쇼지는 그나마 어머니의 마음이 많이 여유로운 때 였나보다.

그의 형제들이 아픈 부인의 걱정을 해 주고 있다.

일본이라는 사회가 이렇게 만들었다며.. 가장을 회사에 오랜시간 메여 있게 만들고 여자들은 가정을 전담하게 만들었다고 일하는 여성을 천덕꾸러기로 만든 나라



이 책을 남편에게도 보여주고 싶다.

우리에겐 아직 아이가 없지만, 이 상황에서의 육아는 자신이 없다.

도와준다고 해도 자신이 없다.

나 역시 독박육아에 그 역시 가즈히로와 다르지 않을 것이 물 보듯 훤~~ 하다.

그래서 아이를 기다린다고 이야기 하지 못하겠다.

아니, 사실 나 하나 건사하기도 힘든 세상인데, 남의 아들 건사하기도 힘들어서, 아이낳지 않는 분위기가 오히려 반갑기까지 하다.

오히려, 갖자고 요구하지 않음에, 아이가 불쑥 찾아오지 않음에 감사하며 살아가고 있다.

지금까지의 인간관계에서 이득을 보고 있던 쪽은 앞으로도 계속 그 상태를 유지하고 싶다고 생각하지, 하지만 손해를 보고 있던 쪽은 어떻게 해서든 바꿔 보려고 필사적이 되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