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달님만이
장아미 지음 / 황금가지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 인간이 어찌 이리 잔인할 수 있고 유약한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희현과 모현은 양반 가문의 자제들 이었는데 부모의 역모죄로 풍비박산이 난 집을 떠나, 이 섬에 유배되듯 버려졌다.

양반 가문에서 자라난 자매가 낯선 섬 마을에 정착하여 살아가는 것만도 쉽지 않았을 터인데..

어디나 그렇듯 이방인에게 후한 인심은 없었다.

자매의 언니 희현은 애가 둘이나 딸린 나이 많은 남자에게 시집을 가야했고, 이 남자 단오는 희현을 품을 줄 몰랐다.

무당의 인신공양의 계획을 안 단오는 자신의 부인을 제물로 점지하라 사주까지 하였다.

연고없는 이 자매를 품어주는 이는 자매 뿐이었다.


 마을사람들 역시 이유없이 죽어나가는 이들에 대해 자신에까지 화가 닥칠까 두려워 호랑이에 제수를 바쳐 달래야 한다는 천이의 주장에 맹신하여 죄 없는 처녀들이 인신공양이라는 이름하에 죽어나가는 것을 방관 하였다.


무당은 왜 사람들을 죽이는 걸까

이 역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자신이 모시는 장군을 현신시켜 원하는 바를 이루려 공개적인 살인을 해 나간것이다.


마을에 전해져 오는 전설


옛날 옛적 한 소녀가 호랑이 등에 올라타 바다를 건너 오니.

그 섬에도 그리하여 범의 자식들이 살게 됐도다

범의 범의 범의 그 범의 자식에게 인간 소녀가 점지되니

그는 성신에게서 비밀을 전해 듣지.

낙타 머리에 사슴뿔을 달고 뱀의 목을 한 괴물이 피를 빌려 마시리라


귀신에 대해 믿지도, 종교도 없지만, 사람들의 말이라는 게 얼마나 유약한가.


옛날 옛적 한 장수가 검은산을 딛고 올라 하늘나라에 가 닿으려 했다는 이야기.

구름 위에 다다를 듯 높아서 하늘나라로 갈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들 하는데

아주 힘세고 지혜로운 사람 하나가 세상을 유랑하다 이 섬에 이르렀을 때 검은산이 하늘나라와 이어진 통로라는 것을 알아차리고 깊디깊은 그 뿌리가 대지의 정수에 박혀있다는 사실

그 꼴을 두고 볼 수 없었던 하늘나라에서 격노한 천제가 당장 대군을 내려보내 장수는 군병과 맞서 싸웠는데 각양각색의 짐승 모습을 한 그것들은 다리가 끊어지고 배가 벌어진 채로도 다시 장수에게 덤벼들어 싸웠는데 무려 아흔아홉날이 흘러 백일을 앞둔 직전에야 패배하고 장수는 절망에 못이겨 완전히 실성해 버렸고, 적들의 시체 속에서 피범벅을 한 채로 기괴한 울음을 터뜨리다 구름 너머 홀연히 사라졌는데 검은산은 떠날 수 없어 그 혼만은 아직 남아있다는 전설


이 책의 배경이 되는 전설이다.

무당 천이는 이 장군의 현신을 기도드리고, 모현은 전설을 실현시킬 점지된 인간소녀,

이 둘을 둘러싸고 희현과 모현의 친구 여민과 마을 주민들은 각자의 이기심으로 눈이 멀고

누군가에게 의지하여 자신과 가족에게는 해를 입지 않으려 방관하고 탓을 돌리고, 타인의 희생에는 눈을 감아버리는 것 그것이 마을에 불행을 가져온 것이 아니냐고 모현은 꼬집었다.


무고한 소녀들을 죽음으로 몰아 넣고 누구하나 자기힘으로 구해내지 못한 것 이 비극 속에서도 손가락 하나 다치지 않은 자 누구인가 그대들의 진정한 적이 과연 누구인가 마을에 증오라는 독을 풀어놓은 이들의 정체를 헤아려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모현은 소리쳤다.


"내 그대들에게 이르노니 더는 인신공양을 올리지 말기를, 어떤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약한 이를 바쳐 목숨을 부지하려 하지 말지니 다만 서로를 도와 마을을 구원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진정 사람을 살리는 일인바"

그 자리엔 범과 용이 함께 하여 힘을 실어 주었다.

그러고 모현과 미유는 더 넓은 세상으로 호랑이와 용과 떠났다.

이 모든 것을 달님이 지켜 봐 주셨다.


참... 머리로는 알지만 몸으로 실천하기 어려운.. 이야기이다.

이 얼마나 인간이란 존재가 유약한지..

3자의 입장에서 보면 보이는데 당사자가 되면 참.. 어리석은 선택을 쉬이 하는 것 같다 그게 정답인 거라며 어쩔 수 없다며.. 스포없이 쓰려고 무던히 노력하였는데 이야기 책이라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그럼에도 읽는 동안 무척 즐겁게 보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