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회화실록
이종수 지음 / 생각정원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조어진>부터<백악춘효도>까지 조선오백 년을 움직인 사람들의 생각을 읽다...

후아~~
본 책은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필두로조선이 건국됨을 알리어시작한다 현재 종영된 드라마 '나의나라'의 연기자들을 상기하며 내용을 읽어가니 재밌었다 이성계와 이방원의 모습 물론 꾸며낸 것이지만 이해하기쉬웠고 재미 있었다 세종대왕의 이야기까지는 말이다...

-(혼일강리역대지도)이 당시에는 지도를 그리기위해 어떻게했을까 대동여지도의 김정호? 처럼 발품팔아가며? 발품을 판다고 지도가 그려질까? 조선인이 그렸기에 조선을 과장되게 표현했다는 그림

어려운 한자에 익숙치않은 백성들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그림으로 교육했다는 삼강행실도중 오이면화

예술을 사랑한 안평대군의 꿈을 표현했다는 몽유도원도

사실 2등공신 신숙주의 초상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방원의 실제모습이 더욱 궁금하다...(왕의 모습을 감추기위해 어진을 많이 그리지 않았다는 설도 잦은 전쟁과 화재로 인해 유실되었다는 설도 현재 알고있는 몇 안되는 어진도 가상의 그림이라는 설 등등있지만 궁금한건 사실~~)

국교는성리학이지만 왕실은 불교사랑을 하였다는것을 보여주는 그림 극락왕생기원하기도

이렇듯 지나온 세월이 일이십년이 아니다보니 설명이 없다면 어떤의미의 그림인지 무어라 쓰여있는지도 모르는 그림들이지만 조선실록의 역사적 배경을따라 그 시대 상황과 여러 목적들을 함께 설명해주어 현재의 사진과 같이 그림과 같이는 알아보기 힘들어도 예전에는 이런 그림을 그리고 이 시대의 계약서?와같은 역할을 가졌구나 이들은 이런뜻을가지고 움직였겠구나 알수있어 좋았다 세종이후의 지나온 역사들을 보면 안으로는 임금과 신하가 혹은 아들끼리 권력쟁취를위해 무수히도 싸워왔다 그 당시에는 그들의 생각이 답이었으리라 현재의 우리의 관점과 사상과는 많이 달랐으리라 알지만 참 답답한 부분들이 많다 그들도 왕권을 가졌다고 마냥 좋지많은 않았겠구나 지금이라고 다를것 없지만 말이다 안에서는 정권다툼 밖으로는 일본과 중국의 압박을 겪는다고 진짜 살수가 없었겠다 감히 현재에 감사한다 총성없는 전쟁중이지만

여태 책에서도 소개하지않은 그저 흘려버린 알지못했던 수 많은 조상들이 어떻게든 지켜온 소중한 나라임을 알 수 있었다

(경복궁을 마지막으로 담다) 이 때의 백악산 아래 경복궁에는 아무도 살지않는 빈터였다한다 글의 설명이 없었더라면 멋진 그림 하고말았을텐데 홀로남은 해태를 집어주며 주인잃은 경복궁과 그린이 그리고 보는 이를 더 없이 쓸쓸하게한다.. 화가는 현장을 그대로 재현하기위해 공을 들였고 그림이 그려진 1915년의 경복궁 상황은 이처럼 고요하지않았다한다
이렇게 되기까지 얼마나 힘들었을까와 짧지않은 역사를 지켜내기위해 끝까지 싸웠던 알려진 그리고 알려지지않은 위인들에 감사해야겠다

마지막 왕조 고종도 사실은 밉지만 이 당시를 겪지않은 내가무슨 말을 할수있을까...순종 역시 그 참담했을 마음을 내가 느낀다한들 그들의 1/100이라도 느낄 수 있으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